학술논문
경력정체와 조직몰입의 관계에 관한 통합적 문헌고찰 : 국내외 실증연구를 중심으로
이용수 110
- 영문명
- An Integrated Literature Review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Plateau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 A Focus on Domestic and International Empirical Research
- 발행기관
- 중앙대학교 휴먼인게이지먼트연구소
- 저자명
- 박지영(Chiyoung Park) 조현정(Hyunjeong Jo) 김우철(Woocheol Kim)
- 간행물 정보
- 『역량개발학습연구(구 한국HRD연구)』제20권 제1호, 33~71쪽, 전체 3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7,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현대 기업 환경에서 조직은 비즈니스 효율화를 강조하며, 이에 따라 구성원들은 승진 기회 제한 및 직무 성장 정체 등 경력정체를 경험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경력정체는 조직몰입을 저하시켜 이직의도 증가 및 조직의 지식 손실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조직은 구성원의 경력정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효과적인 HRD 전략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경력정체와 조직몰입 간의 관계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통합적 문헌고찰을 수행하였다. 국내 문헌은 학술지 등재 또는 등재 후보지를, 국외 문헌은 동료 심사(peer review)를 거친 저널을 기준으로 선정하였다. 총 50편의 실증연구를 PRISMA 가이드라인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력정체와 조직몰입 간의 연구는 2010년대 중반 이후 급증하였으며, 특히 기업체 직원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또한, 연구 간 비교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측정 도구의 표준화와 재타당화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둘째, 경력정체와 조직몰입 간의 관계는 연구마다 일관되지 않은 결과를 보이며, 이를 통합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이론적 모형 정립이 요구된다. 셋째, 경력정체와 조직몰입 간의 관계는 조직 차원의 지원과 제도적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높아, 개인 및 조직 변인을 균형 있게 고려한 다층적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사회적교환이론과 직무특성모델을 결합하여, 경력정체와 조직몰입 간의 실증연구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Hammond 외(2011)의 역동모델을 활용하여 경력정체와 조직몰입 간의 선행, 매개, 조절 및 결과 변인을 개인, 직무, 조직 차원에서 통합적으로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HRD 분야에서 산업, 직무별 차이를 고려한 후속 연구 필요성을 제시하며, 경력정체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조직몰입을 촉진하기 위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In today’s corporate environment, organizations emphasize business efficiency, leading to a rise in career plateau, characterized by limited promotion opportunities and job stagnation. This career plateau negatively impacts organizational commitment, increases turnover intentions, and results in knowledge loss. These consequences highlight the need for effective HRD strategies. This study conducted an integrative literature review on career plateau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alyzing 50 empirical studies using PRISMA guidelines. (1) Research has significantly increased since the mid-2010s, but variations in measurement tools necessitate standardization; (2) while most studies show a negative relationship, inconsistencies across career plateau dimensions suggest the need for an integrated theoretical framework; and (3) organizational support and institutional factors strongly influence this relationship, emphasizing the need for a multi-level perspective. This study integrates Social Exchange Theory and the Job Characteristics Model to provide a comprehensive analysis of empirical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plateau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dditionally, Hammond et al.’s dynamic model (2011) was employed to examine antecedents, mediators, moderators, and outcomes at the individual, job, and organizational levels.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the HRD field by identifying the need for future studies that consider industry and job-specific differenc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특수교육학연구 제60권 제1호 목차
- 특수교사의 의사소통역량과 소진의 관계에서 교사-부모 협력과 교사효능감의 순차적 매개효과
- 예비중등교사의 특수교육 관련 인식 척도 개발 및 타당성 검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