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Impact of High School Students'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on Academic Self-Efficacy: A Focus on Second-Year High School Students
- 발행기관
- 중앙대학교 휴먼인게이지먼트연구소
- 저자명
- 라희석(Hee Seok Ra) 한수정(Soo Jeoung Han)
- 간행물 정보
- 『역량개발학습연구(구 한국HRD연구)』제20권 제1호, 99~129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의 진로개발역량이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23 초·중등 진로교육현황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및 구조모형화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고등학생의 진로개발역량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진로개발역량이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 유형별로는 일반고, 특성화고·마이스터고, 특목고I에서 진로개발역량이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쳤으며, 특목고II의 경우 진로설계역량만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이에 따라 고등학생 시기의 진로탐색 및 진로개발역량 함양이 중요함을 강조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 내실화를 위한 과제와 후속 연구 방향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high school students'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on their academic self-efficacy. To this end, correlation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structural modeling were conducted using data fromthe 2023 Elementary and Secondary Career Education Survey’.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high school students'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and academic self-efficacy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nd that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had a positive effect on academic self-efficacy. By school type, career developmentcompetencies affected Academic Self-Efficacy in general high schools, specialized high schools, Meister high schools, and specialized high schools I, while only career design competencies affected specialized high schools II. Accordingly, the importance of cultivating career exploration and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during high school was emphasize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asks for improving education and directions for follow-up research were suggest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대학 교양교육에서의 사고 개발 가능성: 영화 ‘미키17’과 봉준호감독의 인간 이해와 창작 철학을 중심으로
- 조직공정성이 유아교사의 조직몰입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소진의 직렬다중매개효과
- 사무량심에 기반한 유아기 부모 양육 경험의 해석현상학적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