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시계열 분석을 통한 인천항 해상특송물류센터 수요예측 및 발전 방안에 관한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the Demand Forecasting and Development Plan of Incheon Port Marine Express Logistics Center using Time Series Analysis
- 발행기관
- 한국물류학회
- 저자명
- 오승철(Seung-Chul Oh) 김현호(Hyun-Ho Kim) 안영효(Young-Hyo Ahn)
- 간행물 정보
- 『물류학회지』제35권 제1호, 1~12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무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2.28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2023년 인천항으로 들어오는 해상 특송화물이 큰 폭으로 증가하면서 통상 2∼3일 걸리던 통관 절차가 1주일 정도 소요되는 등통관 지체 현상이 심화하고 있었으며, 이는 중국 기업인 알리 익스프레스, 태무, 쉬인 등 대중국 해상 특송화물의 급격한 증가에따라 인천세관에서 처리할 수 있는 통관 처리 물량을 넘어섰기 때문이다. 인천항은 2021년 1,172만 건, 2022년 1,238만 건, 2023년1,575만 건으로 급증하는 추세였으며, 인천항에 쏟아지는 한-중 카페리 화물을 처리하기 위해 인천본부세관 해상특송물류센터는비상 상황으로 이어지고 있었다. 이에 따라, 2023년 12월 아암물류 2단지에 확장 이전하여 인천항 해상특송물류센터가 새롭게 구축되었으며, 화물을 검사하는 엑스레이(X-Ray) 라인이 6개에서 11개로 늘어났고 자동분류설비가 새롭게 도입되었으며 연간 통관처리 물동량이 종전 1,200만 건에서 2,200만 건으로 2배가량 늘어났다. 이에 따라 해외 직구 물품의 안전하고 신속한 통관으로 통관 처리의 신속화와 기업물류비 절감 등을 기대하고 있으며, 아암물류 2단지 내에 국내외 전자상거래 업체 유치로 고용 창출과지역경제 발전 기여를 기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23년 12월 아암물류 2단지로 확장 이전한 인천항 해상특송물류센터의 ‘연간 통관 처리 물동량 2,200만건은 충분한 것인가?’, ‘연간 통관 처리 물동량 2,200만 건은 어느 시점에서 초과할 것인가?’를 분석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이를위해 첫째, 전자상거래 특송화물에 대한 현황 조사와 국내 해상 특송화물 통관장(일반적으로 ‘해상 특송화물 통관장’으로 통칭하지만 인천항은 ‘해상특송물류센터’로 명칭함)의 형태 및 벤치마킹을 수행하였다. 둘째, 인천항 해상 특송화물 연간 물동량 및 인천항 월별 수출입 통관 전자상거래 수입 물품 물동량을 조사하고, 스마트 포케스트(Smart Forecast, 미국 Smart Software사 개발, 이하 SF) 수요예측 솔루션과 이동평균법, 지수평활법 등 정량적 수요예측 기법을 이용하여 미래 물동량의 변화(2024년∼2030년)에대한 시계열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2030년에는 연간 통관 처리 물동량 2,200만 건을 초과할 것으로 산출되었다. 이에 따라인천항 해상특송물센터의 발전을 위한 단계적인 준비 사항과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기존 연구는 해상특송 통관장 건립 사업의 타당성 분석 또는 해상특송 통관장의 최적 자동화설비 구축 등에 중점을 두었으나. 본 연구는 인천항 해상특송물류센터의 발전을 위한 시계열 분석을 통한 개선 방안과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는 데 연구의 의미와차별성이 있다.
영문 초록
As the maritime express cargo entering Incheon Port increased significantly in 2023, customs clearance procedures, which usually took 2-3 days, were now taking about a week, and customs clearance delays were worsening. This was because the volume of customs clearance cargo from China, including Chinese companies such as AliExpress, Temu, and Shein, exceeded the amount that Incheon Customs could handle due to the rapid increase. Incheon Port showed a sharp increase from 11.72 million cases in 2021, 12.38 million cases in 2022, and 15.75 million cases in 2023, and the Incheon Main Customs Maritime Express Logistics Center was put on emergency alert to handle the Korea-China ferry cargo pouring into Incheon Port. Accordingly, the Incheon Port Maritime Express Logistics Center was newly established by expanding and relocating to Aam Logistics Complex 2 in December 2023. The number of X-ray lines for inspecting cargo has increased from 6 to 11, automatic sorting equipment has been newly introduced, and the annual processing volume has approximately doubled from 12 million to 22 million. In addition, in order to ensure safe and quick customs clearance of overseas direct purchase items, we are seeking to optimize customs clearance processing time and reduce corporate logistics costs, and we expect to contribute to job creation and regional economic development by attracting domestic and international e-commerce companies.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analyzing “whether the annual processing volume of 22 million cases is sufficient” and “at what point will the annual processing volume exceed 22 million cases” of the Incheon Port Maritime Special Logistics Center, which was expanded and relocated to Aam Logistics Complex 2 in December 2023. To this end, first, we conducted a survey on the current status of e-commerce and special cargo, and the form and benchmarking of domestic maritime special cargo customs clearance. Second, the annual cargo volume of Incheon Port’s maritime express cargo and the monthly cargo volume of e-commerce import goods through export and import customs clearance at Incheon Port were investigated, and time series analysis on changes in future cargo volume (2024-2030) was performed using quantitative demand forecasting techniques such as Smart Forecast (demand forecasting solution developed by Smart Software, USA) and moving average method and exponential smoothing method. As a result, it was calculated that the annual cargo volume would exceed 22 million cases in 2030. Accordingly, step-by-step preparations and policy suggestions for the development of Incheon Port’s maritime express cargo center were presented.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on the design of the optimal automated facility layout of the maritime express customs clearance office or the feasibility analysis of the maritime express customs clearance office construction project. This study has the significance and differentiation of presenting improvement measures and policy suggestions through time series analysis for the development plan of Incheon Port’s maritime express logistics center.
목차
Ⅰ. 서 론
Ⅱ. 문헌연구
Ⅲ. 연구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플랫폼 기반 배달대행서비스가 외식업체 비용 절감에 미치는 영향
- 물류기업의 창고 확장과 연구개발 투자가 수익성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Passenger and Destination Characteristics on Attitudes Toward Logistics-Based Advertising : Exploring Moderating and Mediating Variables
- K-뷰티 화장품 소비자의 지각된 가치가 매장이용태도, 만족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화장품성분 고려요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글로벌 공급사슬의 위험요인 식별 및 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 국내 철강산업을 중심으로
- 인천지역 해공복합운송의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 중국 물류업체의 관점을 중심으로
- 시계열 분석을 통한 인천항 해상특송물류센터 수요예측 및 발전 방안에 관한 연구
- 한국의 온라인 쇼핑 이용자의 인지된 ESG 활동에 따른 이용자 만족도와 재구매 의도 관계 연구
- 대형마트 의무휴업일 평일전환에 따른 영세소매업 폐점률 영향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