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종교, 성, 문명의 안티노미: 예이츠의 「초자연의 노래」
이용수 0
- 영문명
- Antinomies of Religiosity, Sexuality, and Civilizations: Yeats’s “Supernatural Songs”
- 발행기관
- 한국예이츠학회
- 저자명
- 김재봉(Chae-bong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 예이츠 저널』51권, 289~306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12.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안티노미가 내용과 형식 양면에서 「초자연의 노래」 전체 작품을 관류함을 논술한다. 시인은 이 연작시에서 성의 문제를 자연계를 넘어 초자연적 영혼의 세계로 확대하였다. 가시적 대응구조인 남자와 여자의 결합에 천상의 합일을 대척점에 놓아 섹슈얼리티의 안티노미 구도를 갖춘 것이다. 예이츠가 제시한 종교적 안티노미는 이미 넓고 깊이 인식된 기독교 정신과 교리를 전혀 새롭게 사색하게 하는 일종의 도발이다. 그는 남성 위주의 성 삼위일체가 아닌 남녀와 자식으로 구성되는 양성적 삼위일체를 주장하고, 사랑이 아닌 증오가 천국으로 인도할 것이라고 말한다. 문명의 대립구도는 서양의 긴 문명사를 동양의 은자가 일갈해서 허무는 데 압축돼 있다. 성산 메루의 은둔자는 종교적, 철학적, 문명사적 혜안으로 모든 서양 문명의 쇠락을 설파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plores antinomies in “The Supernatural Songs.” The poet expands the matter of sexuality from the natural world to the supernatural world of souls. He juxtaposes the union in heaven against the visible counterpart of male-female intercourse to form antinomies of sexuality. Religious antinomies are a kind of provocation to make us rethink the Christian doctrines. The poetic persona asserts a trinity of male, female, and children, and reveals that hatred, not love, will lead us to heaven. An antinomic frame of civilization is condensed into the meditation of Eastern hermits on the decline of Western civilizations.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Book Review] Bernard O’Donoghue. The Seasons of Cullen Church (London: Faber and Faber, 2016)
- Vol. 51 Editor’s Note
- Yeats’s Use of the Poetic Refrain
- Yeats and Secularization in the Manuscripts of The Tower
- The Death of the Poet and Rethinking Shakespeare, Yeats, and Pound
- Shakespeare and Yeats: The Supernatural in Macbeth and The Only Jealousy of Emer
- Plato’s Ideas Overlapped and Transformed in Yeats’s Later Poems
- Yeats and AlphaGo: A Poetics of Otherness
- Yeats’s Poetry and His Ambivalence about Old Age
- Age Trouble: A Yeatsian Journey of Aging in “Sailing to Byzantium”
- 예이츠의 초기시에 나타난 메타포 분석
- 종교, 성, 문명의 안티노미: 예이츠의 「초자연의 노래」
- 예이츠의 초기 시학: 무드와 상징주의
- Self - Sacrifice as an Unwelcome Gift: Subjectivity and Individuality in W. B. Yeats’s Calvary
- The Shamrock and the Maple Leaf: Yeats and Canadian Modernist Poetry
- 자연계와 초자연계의 만남: 『유리창에 새겨진 글자들』 연구
- Brushing History against the Grain: Victims in Irish Ekphrases
- Yeatsian Perspective for World Literature
- 폭력성에 드러난 양가성과 통합 - 『서곡』과 「내전기의 사색」을 중심으로
- Ekphrasis as a Transtextual and Transcultural Event: Revisiting “Lapis Lazuli”
- The Elusive Generation: Yeats’s Troubled Allegiance to the 1890s
- Sex and the Dead in W. B. Yeats’s Poems
- The Reaction of Yeats and Heaney to the Irish Civil War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