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광고형식, 광고원천 신뢰성, 콘텐츠 구독 여부에 따른 네이티브 광고 회피

이용수  23

영문명
Native Advertising Avoidance Based on Advertising Form, Source Credibility, and Content Subscription
발행기관
국제지역학회
저자명
강인원(Inwon Kang) 김도현(Dohyun Kim)
간행물 정보
『국제지역연구』제28권 제4호, 63~82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제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네이티브 광고는 웹사이트의 형식과 이질감이 없어 최근의 온라인 광고시장에서 주류를 차지하고 있다. 많은 연구들이 네이티브 광고의 긍정적인 측면을 강조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네이티브 광고의 기만성에 대해 적지 않은 이용자들이 심리적 불편함을 느끼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본 연구는 특정 사이트에 노출되는 네이티브 광고의 형식, 광고원천의 신뢰성, 그리고 콘텐츠 구독 여부의 차이에 따라 달라지는 심리적 거부감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검증 결과, 동영상 기반의 매체가 텍스트 기반의 매체보다 네이티브 광고에 대한 심리적 거부감이 더 크게 나타났다. 또한 광고 원천의 신뢰성이 높은 전문가 의견의 메시지가 일반인의 의견보다 더 부정적인 태도를 유발하고 있었다. 아울러, 이용자가 구독하는 콘텐츠가 AI 추천 콘텐츠보다 부정적인 태도가 크게 나타났다. 한편, 광고형식과 원천의 신뢰성에 따른 광고회피를 비교한 결과 동영상기반의 전문가 의견 광고가 가장 높은 부정적 태도를 유발했으며, 광고형식과 콘텐츠 구독여부에 따른 광고회피에서는 이용자 구독콘텐츠에서의 동영상 광고가 광고회피를 가장 많이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Native advertising has become mainstream in the recent online advertising market. Despite the fact that many studies emphasize the positive aspects of native advertising, it is also true that many users feel psychological discomfort about the deceptive nature of native advertis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sychological resistance that varies depending on the form of native advertisements displayed on a advertising form, source credibility of the advertisement, and the difference in whether or not the content is subscribed. As a result of the verification, video-based contents showed greater psychological resistance of native advertising than text-based contents. In terms of ad source credibility, expert opinions were found to induce more negative reception than those from the general public. In addition, the contents that users subscribe to showed a greater negative attitude than the contents recommended by AI. When comparing ad avoidance by ad type and source credibility, video-based expert opinion ads triggered the most negative attitudes, and when comparing ad avoidance by ad type and content subscription status, video ads on user subscription contents triggered the most ad avoidanc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가설 설정
Ⅲ. 연구방법론
Ⅳ. 실증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인원(Inwon Kang),김도현(Dohyun Kim). (2024).광고형식, 광고원천 신뢰성, 콘텐츠 구독 여부에 따른 네이티브 광고 회피. 국제지역연구, 28 (4), 63-82

MLA

강인원(Inwon Kang),김도현(Dohyun Kim). "광고형식, 광고원천 신뢰성, 콘텐츠 구독 여부에 따른 네이티브 광고 회피." 국제지역연구, 28.4(2024): 63-8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