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 사회자본의 특성에 관한 도시와 농촌의 비교 연구 : 삶의 만족도의 영향요인을 중심으로
이용수 7
- 영문명
- A Rural-Urban Comparative Study on the Effects of Social Capital : Focusing on the Factors Influencing Life Satisfaction
- 발행기관
- 국제지역학회
- 저자명
- 강민서(Minseo Kang) 나주몽(Jumong Na)
- 간행물 정보
- 『국제지역연구』제28권 제4호, 33~59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한국은 지방소멸 위기를 심각하게 겪고 있으며, 특히 농어촌지역은 인구 유출, 고령화, 저출산 등 심각한 위기에 직면하고 있다. 또한 지방소멸 위기는 지역사회의 존속을 위협하는 문제로 국가적 과제로 부상하고 있는 시점에서 장기적인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전략적인 접근으로 사회자본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사회자본의 특성을 도시와 농어촌 지역단위에서 파악하고 진단함으로써 정책 수립에 지침을 제공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읍면을 농어촌, 동을 도시지역으로 패널 개체 26개로 설정하고 2015년부터 2023년 사회통합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사회자본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를 농촌과 도시의 비교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자본은 지역사회 특성에 따라 개념을 설정하고 도시와 농촌 지역사회의 구조에 따라 형성 및 확대하는 방법이 달라야 한다. 특히, 농촌과 도시의 지역적인 차이를 기반으로 공동체 및 주민조직 활성화를 목표로 한 접근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둘째, 위기관리 측면에서 지역주민들이 협력하고 위기를 극복할 수 있도록 도시와 농촌에 따라 사회자본이 중요한 자원으로 작용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 셋째, 주민과 공공의 파트너십 협력을 기반한 사회자본 형성으로 지역 정체성과 공동목표를 충족시킬 수 있는 선순환적인 사회자본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capital, such as trust, cooperation, and networks using a Panel Analysis technique.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identifying and diagnosing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capital in urban and rural areas to provide guidance for policy formul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social capital is conceptualiz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local communities, and it can vary depending on the structure of the community. In particular, there are distinct regional differences among rural and urban areas, and it is necessary to explore approaches aimed at revitalizing community and neighborhood organizations. Secondly, in terms of crisis management, social capital should be an important resource so that local residents can effectively cooperate and overcome a crisis. Thirdly,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ositive cycle of social capital systems to strengthen regional competitiveness through the formation of social capital based on partnerships among residents and the public.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및 선행연구
Ⅲ. 연구 설계
Ⅳ. 실증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