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의론체 漢文小說 연구 - <黃生傳>을 중심으로

이용수  3

영문명
Research on the Chinese language and Chinese language Focusing on “The History of Hwang Saeng”
발행기관
바른역사학술원
저자명
이영환(Younghwan Lee)
간행물 정보
『역사와 융합』제23호, 251~273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한문소설은 실용적인 한문 산문 문체에서 발전하였다. 시가 감정의 표현을중심으로 한다면 산문은 의사를 표현하는 실용적인 장르이다. 고전소설의 발전은 한문 문체의 1차적인 내용에서 점차 미학적인 소설 고유의 특징을 발현하는 방향으로 발전해왔다. 그러나 조선후기에 북벌과 대청의식을 드러내는현실에서 한문 문체의 하나인 의론체를 통해 작가 의식을 드러내기도 하였는데, 金琦의 漢文小說 <黃生傳>도 그 중하나이다. <황생전>에서는 일반적인인물의 갈등과 서사성보다는 북벌과 대청의식에 대해 문답의 방식으로 의론을 펼치는 내용이 주가 된다. 특히 병기와 병법 지식에 대한 구체적이고 해박한 전개는 북벌을 위해 실질적인 준비를 주장하는 작가의식을 대변한다. 아울러 요동 정벌이라는 장소의 회복을 위해 구체적인 방법론을 제시한다. 이는 황생이라는 소설적 인물을 형상화하기 보다는 그 인물을 통해 직설적으로작가의 견해를 관철하려는 의도로 보인다. 특히 당시 담론이 되었던 북벌과대청의식에 대해 치열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었으며, 각각의 처지에서 다양한관짐을 지니고 있었다는 점을 감안할 때 하나의 입론과 설득의 과정을 소설속에 구현한 것으로 보인다.

영문 초록

Chinese novels were developed using a practical prose style in that language. If poetry focuses on expressing emotions, then prose is a practical genre that expresses opinions. Classical novels have progressed from the primary content of the Chinese writing style to the gradual expression of the novel's unique aesthetic characteristics. However, in the late Joseon Dynasty, in the reality of the Northern Expedition and the Great Qing consciousness, the writer's consciousness was revealed through the Uiron script, a Chinese writing style; and Kim Ryu's Chinese literature, , is one of them. In , the main content is a question-and-answer discussion about the Northern Expedition and the Daecheong ritual rather than the general character conflict and narrative. In particular, the detailed and extensive development of knowledge about weapons and military methods represents the author's consciousness of insisting on practical preparations for the the expedition. In addition, a specific methodology is presented for the recovery of the Liaodong Conquest. This appears to be an intention to directly convey the author's views through the character rather than embodying Saeng’s fictional character. In particular, intense discussions were ongoing about the Northern Expedition and the Daecheong rituals that were discussed at the time. Considering that each person had a variety of views, it seems that the process of introduction and persuasion was implemented in the novel.

목차

1. 서론
2. 問對를 통한 무기와 병법에 대한 견해 피력
3. 요동 정벌에 대한 구체적 방법 제시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영환(Younghwan Lee). (2024).의론체 漢文小說 연구 - <黃生傳>을 중심으로. 역사와 융합, (), 251-273

MLA

이영환(Younghwan Lee). "의론체 漢文小說 연구 - <黃生傳>을 중심으로." 역사와 융합, (2024): 251-27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