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명리사상에 나타난 육친가변성
이용수 17
- 영문명
- The Variability of the Six Relationships in Myungri Philosophy
- 발행기관
- 바른역사학술원
- 저자명
- 이옥화(Ockhwa Lee)
- 간행물 정보
- 『역사와 융합』제23호, 177~208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는 음양오행설의 명리사상을 통해 가족구성원의 부모와 자녀를 대상으로 육친가변성에 대하여 논의한 글이다. 오늘날 가족을 인식한 개념과 대체로 일치한다. 육친성 소속은 일간의 자아중심적인 부모와 자녀는 객체와 주체를 통칭해서 인성(어미)과 식상(자녀), 재성(아비)과 관성(자녀), 비겁(형제자매)에 배속했다. 객체에서 나(我)와 母의 입장은 생아자·아생자하고, 주체에서 父의 입장은 극아자·아극자하고, 형제자매는 아비자·비아자를 작용한다. 이러한 생극신 기능의 표현을 높이 평가했다. 육친가변성은 인간의 개성에따라 기능은 다르고, 상호관계 작용 및 이론적 측면과 기운적 측면에 차이점이 있었다. 육친성의 고정요소는 ‘정석과 편고의 분리식 구조’에 가변성이 단초가 되고, 위치와 기능 및 작용에 의해서 육친가변성이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discusses the variability of the Yukchin by focusing on parents and children within the framework of the Yin-Yang and Five Elements theories in Myungri philosophy. This generally aligns with the modern concepts of the family. The classification of the six relationships considers Ilgan as the central reference, categorizing parents and children as follows: Inseong and Siksang, Jaeseong and Gwanseong, and Bigyeop. From the perspective of the object, the positions of “I” and the mother follow the principles of Saengaja and Asaengja. From the subject’s perspective, the father’s position aligns with that of Geukaja and Ageukja, while the siblings function as Abija and Biaja. The expressions of the generation and Saeng-geuk-shin are highly regarded. The variability in the six relationships differed according to individual personality traits, revealing distinctions in functional roles, mutual interactions, theoretical aspects, and energetic perspectives. This variability is rooted in Jeong-seok and Pyeong-go. The monthly stems correspond to parents and siblings, Ilmyeong to oneself and one’s spouse, and Simyeong to one’s child. The fixed elements of paternity were subject to variability in the “separable structure of stone and knitted”; and there was paternity variability by location, function, and action.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상생상극법칙을 전제 또는 기초가 되는 육친성의 본질
3. 명리사상에 나타난 육친가변성
4. 마치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역사와 융합 제23호 목차
- AI 시대 땅과 공간의 풍수 환경에 관한 연구 - 공주대학교 신관 캠퍼스를 중심으로
- 성명(姓名)에 의한 개운론(開運論) 고찰
- 『日本書紀』以前의 『史記』 朝鮮列傳
- 『양택삼요』의 논리구성과 한계
- 이브의 반란 - 1960~1970년대 여성 노동운동의 역사
- 중국 현대 지도자들에 대한 명리학적 분석 - 쑨원, 장제스, 마오쩌둥을 중심으로
- 의론체 漢文小說 연구 - <黃生傳>을 중심으로
- 명리사상에 나타난 육친가변성
- 김문집의 인상주의 비평 연구
- 다니자키 준이치로의 희곡연구 일고찰
- 생성형 AI와 인문 독서 교육의 연계 가능성 연구 - 서울형 심층 쟁점 독서·토론 프로그램 사례를 중심으로
- 몽골에 진출한 한국기업의 CSR 활동 - 유한킴벌리를 중심으로
- 1980년대 교육민주화운동과 교육매체의 이념
- 〈전등사 나부상(裸婦像)〉 전설과 단막드라마 〈전등사〉의 비교 분석
- 미용실 예약 서비스 사용복잡성이 이용부담감 및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논평] 제도권 학문공동체에서 드러난 언어의 빈곤에 대하여 - 「한국 사이비역사학의 계보와 학문권력에의 욕망」에 대한 비판적 토론
- 미용 전공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과 회복탄력성이 감성지능에 미치는 영향
- 미용사 직급별 업무 환경과 직무 특성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NEW
- 세계화 시대의 틈의 그리스도론 - 힉과 지젝의 그리스도 이해를 중심으로 -
- 「하얀 어둠(白い闇)」에서 드러난 마쓰모토 세이초 추리소설의 심리적 트릭 분석
- 사회 갈등 해소를 위한 그리스도의 구성 요소 재해석 - 현대신학의 그리스도론을 중심으로 -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