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CE Inhibitory Activity,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Metabolite Profiling of Extract and Fractions from Castanea crenata’s Inner Shell
- 발행기관
- 한국차학회
- 저자명
- 현숙경(Sook Kyung Hyun) 송시훈(Si-Hun Song) 조정용(Jeong-Yong Cho)
- 간행물 정보
- 『한국차학회지』제30권 제4호, 118~126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율피는 밤나무의 속껍질로 오랫동안 한방에서 사용되어져 왔으며 항산화, 항암, 항염, 주름 개선 및 탄력효과를 나타낸다는 보고가 있다. 율피차는 종종 견과류 같은 약간 달콤한 맛과 항산화, 항염, 콜레스테롤 및 혈압 조절 등의 다양한 기능성으로 인해 민간요법으로도 많이 사용되어 왔다. 본 연구는 율피 추출물과 그 분획물들에 대한 안지오텐신 전환 효소(ACE) 억제 및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그리고 대사체 프로파일링을 실시하였다. 율피 추출물과 분획물들에 대한 ACE 억제 활성 및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을 평가한 결과, 상대적으로 극성이 높은 EtOAc, n-BuOH 및 H2O 분획물에서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UPLC-ESI-QTOF-MS를 이용하여 율피 추출물 및 그 분획물에 대한 대사체 분석을 수행한 결과, 갈산, 프로토카테츄산, 엘라그산, 당알코올, 자당 등을 포함한 71개 피크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 토대로 율피 추출물과 분획물들이 기능성 소재로서의 개발 가능성에 기초 자료로 삼고자 한다.
영문 초록
Castanea crenata, also known as the Korean chestnut, is a species of chestnut tree native to Korea, Japan, and China. The C. crenata inner shell has long been used in oriental medicine and as a cosmetic in Asia. C. crenata exhibits curative properties, including antioxidant, anti-cancer, anti-inflammatory, and anti-wrinkle/firming effects. C. crenata inner shell tea is often enjoyed for its nutty, slightly sweet flavor and purported health benefits. This study evaluates the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CE) inhibitory and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metabolites of the C. crenata inner shell, a novel and excellent functional tea material. The ACE inhibitory activity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various fractions obtained from the methanol extract of the C. crenata inner shell were evaluated, and the relatively highly polar EtOAc, n-BuOH, and H2O fractions showed high activities. Metabolite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methanol extract and the fractions obtained from the C. crenata inner shell by using UPLC-ESI-QTOF-MS. In the LC-MS chromatogram of the MeOH extract of the C. crenata inner shell, 71 peaks were identified, including gallic acid, protocatechuic acid, ellagic acid, sugar alcohol, and sucrose. The results demonstrate the potential use of the C. crenata inner shell and its fractions as functional tea materials for beneficial health effects, including ACE inhibition and free radical scavenging.
목차
서 론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3T3-L1 지방세포 분화과정에서 셀레늄의 항염증 및 당대사 개선 효과
- 우린물의 온도에 따라 순차적으로 우려낸 증제녹차의 유용성분 용출 양상
- 찻물의 이화학적 수질특성이 전자혀 맛 지수에 미치는 영향
- Streptococcus mutans에 대한 레몬그라스(Cymbopogon citratus) 에탄올 추출물과 에센셜 오일의 항균능 비교
- 『한국차학회 학술대회발표집』(1995-2024)을 통해 본 학술 발표의 시기별 동향과 장소 유형의 트렌드 분석
- 다인(茶人) 이순신 장군 고찰 - 명나라 장수들의 차 선물 목록을 중심으로
- 19세기 영국 블렌디드 티의 양상과 효용성
- 차나무 차광재배 전 마그네슘 처리에 따른 생리활성 및 성분 변화
- 백파의 삼종선(三種禪)과 초의의 이종선(二種禪) 그리고 동다송(東茶頌)
-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작설차와 조선 차 문화에 관한 고찰
- 소비자 이미지 분석을 통한 한국 차 산지별 브랜드 형성 방안 연구
- 데침 공정을 적용한 황칠 잎 덖음차의 성분특성
- 율피추출물과 분획물의 ACE 억제와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및 대사체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BEST
- 한국 차 산업 동향 분석을 통한 정책 대안 모색
- 고효율의 아그로박테리움 형질전환법을 이용한 제초제저항성 나리 식물체 개발
- Effect of media components on hyperhydricity in horticultural crops: A review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NEW
- 방풍 구조물 설치에 따른 옥수수 화분 비산 및 교차수분 저감 효과 연구
- Genetic stability analysis of in vitro micropropagated fire blight-resistant apple rootstocks
- Identification and functional characterization of FLOWERING LOCUS T and TWIN SISTER OF FT floral integrator genes in Pak-choi (Brassica rapa ssp. Chinensi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