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 진학 희망 전공 입학 여부가 고등교육 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이용수 115
- 영문명
- An Analysis of the Effect of Admission into Desired Majors on Higher Education Performance
- 발행기관
-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 저자명
- 조인(In Cho) 박인호(In ho Park) 류이슬(Yiseul Ryu) 문혜빈(Hye Bin Moon) 박태양(Taeyang Park)
- 간행물 정보
- 『교육재정경제연구』제33권 제4호, 83~110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 진학 희망 전공 입학 여부가 대학생의 학업성취도, 만족도 및 중도 탈락 여부로 대표되는 고등교육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자율전공 또는 무전공제도와 같은 전공 선택권 확대 정책 시행 및 확대에서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16년부터 2022년까지 수집된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Ⅱ(Korean Education & Employment Panel Ⅱ, KEEPⅡ) 데이터를 활용하여 고교시기에 희망한 대학 전공과 대학에서의 실제 전공 간 일치 여부가 고등교육 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으며, 종속변수가 학업성취도 및 만족도인 모델에서는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종속변수가 중도탈락 여부인 모델은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대학생의 전공 일치 여부는 학업성취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대학 생활에 대한 만족도와는 정적 효과를 중도 탈락 여부에는 부적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전공 선택권 확대는 만족도의 향상이나 학업유지와 같은 대학 생활의 질적 수준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 조직의 핵심 정책 목표가 학업성취도 향상일 경우보다, 학생들의 만족도 향상과 학업 지속성 제고에 있을 경우에 학생들의 전공 선택권 확대 및 자율성 강화를 위한 정책적 개입의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provide policy implications for the implementation and expansion of policies that broaden major selection options, such as liberal arts or undeclared major systems, by analyzing the impact of admission to desired college majors on higher education outcomes, represented by academic achievement, satisfaction, and dropout rates of college students. To this end, the study utilized data from the Korean Education & Employment Panel II (KEEP II) collected from 2016 to 2022 to analyze how the match between high school students' desired college majors and their actual majors in college affects higher education outcome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for models where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academic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whi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for the model where the dependent variable was dropout statu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atch between students' majors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However, it had a positive effect on satisfaction with college life and a negative effect on dropout rates. In other words, expanding major selection options is confirme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improving the quality of college life, such as increased satisfaction and academic persistenc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olicy interventions aimed at expanding students' major selection options and strengthening their autonomy may have a greater effect when the core policy goal of university organizations is to improve student satisfaction and academic persistence rather than to enhance academic achievement.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육재정경제연구 제33권 제4호 목차
- 진로체험지원센터 이용이 학생의 진로체험활동 참여에 미치는 영향 분석
- 4년제 대학생의 현장실습 경험이 진로결정 및 구직활동에 미치는 영향 분석
- 고등·평생교육지원특별회계 운용 쟁점 및 개선방안 탐색: 전문가 의견을 중심으로
- 2025~2028년 AI 디지털교과서 구독료 재정소요에 따른 지방교육재정부담 추계
- RISE 전환에 따른 대학 재정지원의 쟁점과 과제
- 효과적 대학원 질 관리 방안 연구
- 한국장학재단의 학자금대출과 국가장학금 수혜에 따른 대학생의 학업성취도, 대학 생활 및 여가와 삶의 질 분석
- 대학 진학 희망 전공 입학 여부가 고등교육 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 기술 변화와 여성우세직종의 숙련구조 변동: 한·미 직업정보 연계 분석
참고문헌
- 아시아교육연구
- 교육평가 연구
- 상담학연구
- 공학교육연구
- 인간이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대학 교수-학습 연구
- 한국콘텐츠학 회
- 한국교육
- 지방교육경영
- 한국교육
- 교육과학연구
- 교육과학사
- 수학 교육
- 대학 교수-학습 연구
- 경영교육연구
- 한국교원연구
- 비교교육연구
- 한국아동건강간호학회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대학교육
- 한국교육
- 교육문제 연구
- 인적자원개발연구
- 한국산학기술학회
- 청소년학연구
- 진로교육연구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한국교육개발원
- 한국교육문제연구
- 교양교육연구
- 한국청소년학회
- 평생교육・HRD연구
- 고등교육
- 교육행정학연구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한국경영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 교육 개혁 정책 연구 총서
- 국내석사학위논문
- 한국교육문제연구
- 교육문화연구
- 한국콘텐츠학회지
- 직업교육연구
- 국내박사학위논문
- 대한경영교육학회
- 한국심리학회지
- 경희대학교 교육문제연구 소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교육행정학연구
- 경영과 정보 연구
- 청소년상담연구
- 교육학연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집
- 교육행정학연구
- 관광연구저널
- 교육재정 경제연구
- 직업교육연구
- 한국교육행정학회
- 교육발전연구
- 진로교육연구
- 한국의류학회지
- 문화교류와 다문화 교육
- 대학 교수-학습 연구
- 진로교육연구
- 국내박사학위논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공공정책연구
- KRIVET Issue Brief
- 교육학연구
- 한국교육개발원
- 한국교육개발원
- 국내석사학위논문
- 서울
- 한국심리학회지
- 국내석사학위논문
- New York
- Journal of College Student Personnel
- San Francisco
- W H Freeman/Times Books/ Henry Holt & Co.
- National Center for Educational Statistics(DHEW/OE), Washington, DC.
-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 Distance Education
- Commissioned Report for the National Symposium on Postsecondary Student Success: Spearheading a Dialog on Student Success.
- Englewood Cliffs, NJ
- Odessa, FL
- NASPA Journal
-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 Commissioned Report for the National Symposium on Postsecondary Student Success: Spearheading a Dialog on Student Success.
- San Francisco
- San Francisco, CA
- Psychological Bulletin
-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 NACADA Journal
- Journal of Economic Education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International Academic Tribune Vol.2 No.2 Contents
- The Granular Representation of Syntactic Cartography
- A Translation Report on English-Chinese of Smart Thinking (Excerpt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