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효과적 대학원 질 관리 방안 연구
이용수 90
- 영문명
- A Study on the Effective Strategies for Quality Management of Graduate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 저자명
- 이길재(Gil Jae Lee) 김민석(Min Seok Kim)
- 간행물 정보
- 『교육재정경제연구』제33권 제4호, 135~161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대학원 교육이 국가경쟁력 강화에 중대한 역할을 하는 핵심 분야로 강조됨에 따라 대학원 교육 전반의 종합적인 질 관리가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효과적인 대학원 교육 및 연구의 성과관리 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방안을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해당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대학원 정보공시 제도에 대해서 개관하였으며, 대학원의 질 관리를 위한 현행 성과지표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전략적인 관리가 필요한 지표를 추가적으로 도출하고자 하였다. 효과적인 대학원 질 관리를 위하여 새로 추가될 필요가 있는 대학원 정보공시 항목이 대학원 질 관리에 있어 얼마나 중요한지에 대해 교육수요자의 인식을 파악하였고, 대학 내 대학원 관련 업무 담당자를 대상으로 중요도와 실행도를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성과, 교육여건 및 지원체계, 교육 및 산학협력, 학교 및 법인 회계, 졸업 후 진로 등의 항목에서 중요도에 비해 현재의 관리 수준이 상대적으로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구체적인 공시정보 내용으로 전임교원 연구실적, 논문자격 조건과 심사 관련 규정, 대학원생 인권 관련 현황 및 조치사항, 대학원생 1인당 교육비 등이 새롭게 추가될 필요가 있음을 밝혔다.
영문 초록
As graduate education is emphasized as a key field that plays an important role in strengthening national competitiveness, comprehensive quality management of overall graduate education is require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ways to establish an effective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for graduate education and research. To achieve this objective, the study provided an overview of the graduate school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assessed awareness of current performance indicators for quality management in graduate programs, and aimed to identify additional indicators that require strategic management. The study also examined the perceptions of educational stakeholders regarding the importance of new information disclosure items for effective graduate school quality management and compared the perceived importance and implementation levels according to those responsible for graduate-related tasks within the institution.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current level of management is relatively inadequate compared to the importance in areas such as research performance, educational conditions and support systems, education and industry-academia cooperation, school and foundation accounting, and post-graduation pathways. Furthermore, it was identified that specific information items, including full-time faculty research performance, qualifications and regulations related to thesis evaluation, current status and measures related to graduate student rights, and educational expenses per graduate student, need to be newly included in the disclosure system.
목차
Ⅰ. 서론
Ⅱ. 대학원 교육의 질 관리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육재정경제연구 제33권 제4호 목차
- 진로체험지원센터 이용이 학생의 진로체험활동 참여에 미치는 영향 분석
- 4년제 대학생의 현장실습 경험이 진로결정 및 구직활동에 미치는 영향 분석
- 고등·평생교육지원특별회계 운용 쟁점 및 개선방안 탐색: 전문가 의견을 중심으로
- 2025~2028년 AI 디지털교과서 구독료 재정소요에 따른 지방교육재정부담 추계
- RISE 전환에 따른 대학 재정지원의 쟁점과 과제
- 효과적 대학원 질 관리 방안 연구
- 한국장학재단의 학자금대출과 국가장학금 수혜에 따른 대학생의 학업성취도, 대학 생활 및 여가와 삶의 질 분석
- 대학 진학 희망 전공 입학 여부가 고등교육 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 기술 변화와 여성우세직종의 숙련구조 변동: 한·미 직업정보 연계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International Academic Tribune Vol.2 No.2 Contents
- The Granular Representation of Syntactic Cartography
- A Translation Report on English-Chinese of Smart Thinking (Excerpt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