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the Impact of Career Experience Support Centers on Students' Participation in Career Experience Activities
- 발행기관
-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 저자명
- 김민석(Min-Seok Kim)
- 간행물 정보
- 『교육재정경제연구』제33권 제4호, 29~49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전국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진로체험지원센터의 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진로체험지원센터는 학생들의 지역사회 내 진로체험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설립되었으며, 2022년 6월 기준 223개소가 운영되고 있다. 진로체험지원센터는 기본적으로 학교의 진로체험 활동 운영을 지원하는 기관으로, 학생들이 진로체험활동을 할 수 있는 지역사회 내 체험센터를 발굴하여 학교와 연결하는 것을 가장 중요한 기능으로 수행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진로체험지원센터가 효과적으로 운영되고 있는지 검증하기 위해 학교의 진로체험지원센터 이용이 학생의 진로체험활동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였다.
분석을 위한 자료로 한국직업능력연구원의 '초·중등 진로교육 현황조사' 중학교 3학년 설문 응답 값을 활용하였다. 초·중등 진로교육 현황조사의 학생, 학부모, 진로전담교사, 학교 관리자 및 담임교사 설문에 근거하여 학교 및 학생 수준 변수들을 도출하였으며, 학교의 진로체험지원센터 이용 여부 및 만족도가 학생의 진로체험활동 참여 여부에 영향을 주는지 확인하기 위해 다층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학교의 진로체험지원센터 이용은 학생의 진로체험활동 참여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진로체험지원센터 이용 만족도 역시 학생의 진로체험활동 참여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학교의 진로체험지원센터 이용 및 만족도는 학생의 진로체험활동 참여 승산을 각각 1.4배, 1.7배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분석 결과를 토대로 진로체험센터의 위상 및 기능 강화, 객관적 자료에 근거한 진로체험지원센터 운영 성과 분석 등을 제언으로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effectiveness of Career Experience Support Centers, which are operated nationwide. Established to support students' participation in career experience activities within their communities, 223 centers were in operation as of June 2022. The primary function of these centers is to support schools in facilitating career experience activities by identifying career experience sites within the community and connecting them with schools.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effective operation of these Career Experience Support Centers by examining whether their use by schools influences students' participation in career experience activities.
Data for the analysis were derived from responses of third-grade in middle school students to the 'Survey on the Status of Career Education i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conducted by the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KRIVET). Based on survey responses from students, parents, career guidance teachers, school administrators, and homeroom teachers, school- and student-level variables were identified. To determine whether the use of Career Experience Support Centers by schools and the satisfaction with these centers influence students' participation in career experience activities, a multileve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use of Career Experience Support Centers by schools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students' participation in career experience activities. Additionally, satisfaction with the centers positively impacts students' participation. It was found that the likelihood of students engaging in career experience activities increases by 1.4 times with the use of the centers and by 1.7 times with high satisfaction.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suggests enhancing the status and functions of Career Experience Support Centers and calls for an objective assessment of these centers' operational performanc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육재정경제연구 제33권 제4호 목차
- 기술 변화와 여성우세직종의 숙련구조 변동: 한·미 직업정보 연계 분석
- 고등·평생교육지원특별회계 운용 쟁점 및 개선방안 탐색: 전문가 의견을 중심으로
- 대학 진학 희망 전공 입학 여부가 고등교육 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 4년제 대학생의 현장실습 경험이 진로결정 및 구직활동에 미치는 영향 분석
- 한국장학재단의 학자금대출과 국가장학금 수혜에 따른 대학생의 학업성취도, 대학 생활 및 여가와 삶의 질 분석
- 효과적 대학원 질 관리 방안 연구
- 진로체험지원센터 이용이 학생의 진로체험활동 참여에 미치는 영향 분석
- 2025~2028년 AI 디지털교과서 구독료 재정소요에 따른 지방교육재정부담 추계
- RISE 전환에 따른 대학 재정지원의 쟁점과 과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대학 교양교육에서의 사고 개발 가능성: 영화 ‘미키17’과 봉준호감독의 인간 이해와 창작 철학을 중심으로
- 조직공정성이 유아교사의 조직몰입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소진의 직렬다중매개효과
- 사무량심에 기반한 유아기 부모 양육 경험의 해석현상학적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