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양택풍수 동사택&서사택에 관한 사례분석 - 거주자의 본명궁을 중심으로
이용수 22
- 영문명
- A Case Analysis on the Dong-Seo Satack in Residential Feng-Shui : Focused on the Bonmyeonggung of the Residents
- 발행기관
- 한국부동산산업학회
- 저자명
- 이다경(Da-kyung Lee) 박문수(Mun-su Park)
- 간행물 정보
- 『부동산산업연구』제7권 제2호, 103~131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개발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양택풍수에서 동사택·서사택과 그 공간에 거주하는 사람의 본명궁(本命宮)을 접목한 사례분석이며, 거주 공간의 위치와 거주자의 본명궁과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공간분석은 양택 거주(택지) 공간에 대한 3축 지자기 측정 장비(HMR-2300, Honeywell)를 활용하였으며, 측정한 주거(택지) 공간에 거주자의 본명궁을 접목하였다. 또한, 좋은 공간의 배치와 거주는 거주자에게 유익한 에너지를 제공한다는 관점을 반영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사택은 귀(貴)로 명예를, 사사택은 부(富)를 기대하는 것이고, 혼합사택은 흉할 수 있다. 둘째, 동(·서)사택은 출입문을 기준으로 분류하며, 동명인은 동사택론에 따라 구성된 영역에, 서명인은 서사택론에 따라 구성된 영역에서 생활하는 것이 좋다. 셋째, 거주자의 본명궁과 거주 공간의 조화를 통한 개운을 이룰 수 있는 표준모델을 제시하였다. 결국, 양택풍수인 동사택·서사택론의 관점에서 거주자의 좋은 개운법(開運法)은 거주자의 본명궁에 따라 거주 공간의 배치와 위치를 정해서 공간과 거주자 간 서로 균형과 조화를 이루는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 case analysis that combines the east and west houses and the main palace of a person living in the space in Yangtaek Pungsu, and attempts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ocation of the living space and the resident's main palace. For this, the spatial analysis used three-axis geomagnetic measurement equipment (HMR-2300, Honeywell) for the Yangtaek residence (housing) space, the resident's main palace was grafted to the measured residential (housing) space, and the arrangement of the space reflected the view that it provides beneficial energy to resident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 verb house is to expect honor, a private house is to expect wealth, and a mixed house can be ugly. Second, it is better to live in the area organized according to the verb tax theory for the same person, and the signer in the area organized according to the narrative tax theory. Third, a standard model that can be refreshed through the harmony of the resident's main palace and living space was presented. In the end, the method of opening the spac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east and west housing theory is to balance and harmonize with each other by arranging and positioning spaces according to the resident's main palace.
목차
Ⅰ. 서 론
Ⅱ. 풍수학의 이론적 고찰
Ⅲ. 동·서사택론 문헌 연구 및 선행 연구
Ⅳ. 사례분석 및 시사점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BEST
- 인구감소 지역의 지방소멸 대응 전략 방안 연구
-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인구감소·지방소멸 연구 동향 메타분석 및 연구 방향
- 부동산, 가상자산 및 주식시장 간의 가격 변동성 전이효과 분석
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NEW
- 스마트 공간 유형별 스마트서비스 포지셔닝과 공간계획법의 개선방안
- 인구변화관점에서 본 일본의 입지적정화계획의 효과분석
- 프롭테크 정보서비스 품질이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소비가치의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