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거시경제변수가 수도권 및 비수도권 주택가격에 미치는 요인분석

이용수  50

영문명
The macroeconomic variable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nd local housing prices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발행기관
한국부동산산업학회
저자명
김진명(Jin-myung Kim) 이춘원(Choon-won Lee)
간행물 정보
『부동산산업연구』제7권 제2호, 1~24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역개발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우리나라 부동산 정책은 수요와 공급으로만 부동산 대책을 마련해 오고 있다. 거시적인 경제변수의 부동산 가격변동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부동산 시장은 복잡하며, 다양한 외부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와는 다르게 거시경제변수가 수도권 공동주택 및 비수도권 공동주택에 미치는 영향을 구분하여 분석하였으며, 공적분검정 및 그랜저 인과관계변수, 충격반응 분석 등을 분석기법으로 하여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도권과 비수도권 주택의 경우 거시적인 경제변수인 통화량 및 주택 전세가격지수 등에 공통적인 영향을 받고 있으며, 다만, 그 영향력의 크기 및 시기에서 차이가 있다. 주택 담보대출금리 및 대출금액은 초기에는 부정적 영향을 미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금리 및 대출금액이 증가하더라도 수도권 주택 실거래가 지수가 상승하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비수도권 주택 실거래가 지수도 역시 주택 담보대출금리 및 가구당 평균소득에 밀접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Korea's real estate policy has been preparing real estate measures only with supply and demand.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changes in real estate prices of macroscopic economic variables. This is because the real estate market is complex and affected by various external factors. Unlike previous studies,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macroeconomic variables on apartment houses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apartment houses in the non-metropolitan area,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using the cointegration test, Granger causal variables, and impact response analysis are as follows. In the case of houses in the metropolitan and non-metropolitan areas, the amount of money and the housing jeonse price index, which are macroscopic economic variables, are commonly affected, bu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magnitude and timing of their influence. Mortgage interest rates and loan amounts initially had a negative effect, but it was concluded that even if interest rates and loan amounts increased over time, the actual transaction price index of houses in the metropolitan area rose. The real transaction price index of houses in the non-metropolitan area was also found to have a close effect on the mortgage interest rate and average income per household.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설계
Ⅳ. 실증분석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진명(Jin-myung Kim),이춘원(Choon-won Lee). (2024).거시경제변수가 수도권 및 비수도권 주택가격에 미치는 요인분석. 부동산산업연구, 7 (2), 1-24

MLA

김진명(Jin-myung Kim),이춘원(Choon-won Lee). "거시경제변수가 수도권 및 비수도권 주택가격에 미치는 요인분석." 부동산산업연구, 7.2(2024): 1-2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