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新媒体视域下鞍山旅游城市形象构建研究
이용수 92
- 영문명
- Research on the Construction of Anshan’s Tourism City Image from the Perspective of New Media
- 발행기관
- YIXIN 출판사
- 저자명
- 苏浩(Su Hao) 任玲(Ren Ling)
- 간행물 정보
- 『Journal of China Studies』제2권 제11호, 50~59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1.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is paper explores the current status, challenges, and enhancement strategies for shaping the tourism city image of Anshan. Based on destination branding theory, holistic tourism development theory, and new media communication theory, the study analyzes issues such as unclear brand positioning, inadequate resource integration, ineffective new media communication, and deficiencies in public facilities and service levels. By refining brand positioning, strengthening resource integration, enhancing digital marketing capabilities, improving tourist experience, and promoting regional tourism cooperation, the paper proposes strategies to enhance Anshan's tourism city image. The study also emphasizes the crucial role of new media in modern tourism image building, particularly the impact of social media and short-video platforms on raising city awareness and fostering interaction with tourists. Looking forward, Anshan should leverage technological innovation, regional cooperation, and sustainable development to further optimize its tourism city image, enhance competitiveness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markets, and promote the long-term development of its tourism industry.
영문 초록
本文以“新媒体视域下鞍山旅游城市形象构建研究”为主题,探讨了鞍山在旅游城市形象塑造中的现状、挑战及提升策略。研究基于城市形象理论、全域旅游理念、新媒体传播理论等,分析了鞍山在品牌定位模糊、资源整合不足、新媒体传播效果不佳、公共设施与服务水平有待提升等方面存在的问题。通过深化品牌定位、加强资源整合、提升数字化营销能力、改善游客体验及增强公众参与等策略,进而提出提升鞍山旅游城市形象的路径。同时,也强调了新媒体在现代旅游形象构建中的重要性,尤其是在社交媒体、短视频等平台的应用对城市知名度和游客互动性的提升作用。未来,鞍山应利用技术创新、区域联动与可持续发展,进一步优化其旅游城市形象,提升在国内外市场中的竞争力,推动旅游业的长期发展。
목차
Ⅰ. 引言
Ⅱ. 理论基础
Ⅲ. 鞍山旅游城市形象的现状分析
Ⅳ. 新媒体对鞍山旅游城市形象构建的影响
Ⅴ. 鞍山旅游城市形象构建中的问题与挑战
Ⅵ. 鞍山旅游城市形象提升的策略与路径
Ⅶ. 结论与展望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그림책 속 할아버지의 의미 분석
-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연구 -Mark Janssen의「Island」작품을 중심으로-
-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