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태반 추출물의 의학적 근거와 임상적 활용
이용수 15
- 영문명
- Current evidence and clinical applications of placental extracts
- 발행기관
- 대한기능의학회
- 저자명
- 이상훈(Sang-Hoon Lee) 김상만(Sang Man Kim)
- 간행물 정보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for Functional Medicine』Vol.7 No. 2, 19~30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1.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GC녹십자아이메드 강남센터 기능의학 클리닉 태반은 인간을 비롯한 포유류의 임신 중 발생되는 조직으로, 태아와 모체의 자궁벽을 연결하여 영양 공급 및 대사, 가스 교환, 노폐물 제거, 면역 조절, 호르몬 유지 등 다양한 역할을 하는 장기이다. 이러한 태반을 의학적으로 이용한 역사는 매우 오래되었는데, 의학의 아버지인 히포크라테스가 태반을 치료제로 사용했다 하며, 본초강목이나 동의보감 같은 중국과 한국의 전통 의학 서적에서도 인태반(자하거)을 약제로 제시하고 있다. 현대 의학의 시기에는 구 소련의 안과 의사 Vladimir Filatov가 1930년대에 태반을 질병 치료에 활용했으며, 1950대 일본에서 인태반 제제들이 의약품으로 생산되기 시작했다. 이후 인태반 및 동물 태반에 대한 연구 및 경구, 주사, 국소도포 제제에 대한 연구와 활용이 이루어졌으나, 현재 국내에서는 의학적으로 인태반 주사제 2가지, 인태반 추출물(human placental extracts, HPE)과 인태반 가수분해물(human placental hydrolysates, HPH) 제제가 갱년기 증상 및 간기능 개선으로 허가되어 활용되고 있다(다만, 실제진료 현장이나 다수의 연구에서 HPH를 그냥 태반 추출물 또는 placental extracts로 혼용하여 지칭하는 경우가 많다). 최근 항노화와 갱년기, 간기능 및 해독에 대한 관심도가 증가하면서 이러한 태반 추출물 및 태반 주사제에 대한 관심과 활용도가 증가하고 있으나, 아직 체계적인 연구와 근거는 부족한 상황으로 보인다. 이에 본 종설에서는 저자들의 임상 사용 경험이 많은 HPH 주사제를 중심으로 태반 추출물의 의학적 근거와 임상적 활용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e placenta, a tissue unique to mammals including humans, plays multiple essential roles during pregnancy, facilitating nutrient supply, metabolism, immune modulation, and hormone regulation between the fetus and mouther. Historically, medical use of the placenta dates back to antiquity, with Hippocrates reportedly using it as a therapeutic agent, and traditional Asian medical textbooks such as Bencao Gangmu in China and Donguibogam in Korea also documenting its medicinal properties. In modern medicine, Soviet ophthalmologist Vladimir Filatov utilized placenta in disease treatment in the 1930s, and in the 1950s, placental preparations began pharmaceutical production in Japan. Recently, two injectable placental products, human placental extracts and human placental hydrolysates (HPH), are approved for menopausal symptom relief and liver function improvement in South Korea (though in clinical practice or research area, HPH often described simply as placental extracts). Current interest in anti-aging, menopause, regeneration, and detoxification has increased utilization and research on these placental products, although well-designed studies and evidence remain limited. This article aims to review the current medical evidence and clinical application of placental extracts, especially with a focus on HPH drawing from the authors' extensive clinical experience.
목차
서론
본론
결론
Conflicts of Interest
Author Contributions
요약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오메가-3, -6 등의 다가불포화지방산의 이해와 활용
- 중금속 노출의 진단과 중금속 중독 치료
- 세포외소포체: 의생명 연구에서 세포 소통의 매개체로서 역할
- 기능성 소화불량증의 기능의학적 접근: 뇌-장축 불균형 1예와 위산저하증 2예
- 비만 표현형에 따른 비만 치료의 기능의학적 접근
- 편집자주: 기능의학과 킬레이션, 호르몬, 그리고 기능성 위장관 장애
- 태반 추출물의 의학적 근거와 임상적 활용
- 호르몬 검사의 기능의학적 접근: 부신과 성장 호르몬 중심으로
- 다낭성 난소 증후군의 기능의학적 접근
- 장내세균 불균형환자에서 역설적인 혈중 비타민 B12의 상승과 고호모시테인혈증 증례들
- 경구 요산 저하 약물에 반응하지 않는 고요산혈증 환자에서 킬레이션 치료의 효과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for Functional Medicine Vol.7 No. 2 Contents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Minimally invasive immediate implantation in the anterior region affected by aggressive periodontitis: two case reports
- Implant fractures to failures – case report series
- Melittin inhibits MPP+-induced HT22 cell death by suppressing Bax activation and improving mitochondrial functio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