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세포외소포체: 의생명 연구에서 세포 소통의 매개체로서 역할

이용수  20

영문명
Extracellular vesicles: mediators of cell communication and emerging roles in biomedical research
발행기관
대한기능의학회
저자명
서인호(In-Ho Seo)
간행물 정보
『Journal of Korean Institute for Functional Medicine』Vol.7 No. 2, 31~38쪽, 전체 8쪽
주제분류
의약학 > 의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1.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세포외소포체(extracellular vesicles, EVs)는 세포 간신호 전달의 중요한 매개체로, 다양한 생리적 및 병리적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EVs는 나노미터 크기의 소포체로 단백질, 리피드, 핵산을 포함하여 정보를 전달하며, 엑소좀(exosomes), 마이크로베지클(microvesicles), 세포사체(apoptotic bodies)로 분류된다. 엑소좀은 30-150nm 크기의 소포체로, 세포 간 신호 전달, 면역 반응 조절, 조직 재생 등 다양한 역할을 한다. EVs는 암, 신경퇴행성질환, 심혈관 질환 등 병리적 상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질병의 진단과 치료의 잠재력을 가진다. 예를 들어 줄기세포 유래 EVs는 조직 재생을 촉진하고, 암 세포 유래 EVs는 종양 성장과 전이를 촉진하는 반면, 면역 회피를 유도할 수 있다. 최근 연구는 EVs가 노화된 세포의 기능을 회복하거나 노화 관련 질환을 늦추는 데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EVs 연구에는 분리 및 특성 분석의 표준화 부족, 이질성 문제 등 여러 한계가 존재하며, 임상 적용을 위해서는 대량 생산 기술 개발 및 안전성 평가가 필요하다. EVs의 다양한 기능과 역할을 더 깊이 이해하는 것이 향후 진단 및 치료 전략 개발에 중요한 기반이 될 것이다.

영문 초록

Extracellular vesicles (EVs) are critical mediators of intercellular communication, playing vital roles in various physiological and pathological processes. These nanometer-sized vesicles, which include exosomes, microvesicles, and apoptotic bodies, carry proteins, lipids, and nucleic acids that relay biological information between cells. Exosomes, ranging from 30 to 150 nm, are particularly important in cell signaling, immune regulation, and tissue regeneration. EVs have been implicated in the progression of diseases such as cancer, neurodegenerative, and cardiovascular diseases, showcasing their potential as diagnostic biomarkers and therapeutic tools. For instance, stem cell-derived EVs promote tissue regeneration, whereas cancer cell-derived EVs facilitate tumor growth and metastasis while aiding immune evasion. Recent studies indicate that EVs can be used to rejuvenate aged cells and mitigate age-related diseases. However, several challenges remain in EV research, such as the lack of standardized methods for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as well as issues related to heterogeneity and clinical scalability. Advancing techniques for large-scale production and safety assessments is crucial for their clinical translation. Understanding the multifaceted roles of EVs is essential for future diagnostic and therapeutic innovations.

목차

서론
본론
결론
Conflicts of Interest
Author Contributions
요약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서인호(In-Ho Seo). (2024).세포외소포체: 의생명 연구에서 세포 소통의 매개체로서 역할. Journal of Korean Institute for Functional Medicine, 7 (2), 31-38

MLA

서인호(In-Ho Seo). "세포외소포체: 의생명 연구에서 세포 소통의 매개체로서 역할." Journal of Korean Institute for Functional Medicine, 7.2(2024): 31-3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