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호르몬 검사의 기능의학적 접근: 부신과 성장 호르몬 중심으로
이용수 28
- 영문명
- The functional medicine approach to hormone testing: Focusing on adrenal hormones and growth hormone
- 발행기관
- 대한기능의학회
- 저자명
- 서은경(Eunkyung Suh)
- 간행물 정보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for Functional Medicine』Vol.7 No. 2, 53~60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1.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기능의학 의원에 진료를 보러 오는 환자들의 주된 호소 증상은 대표적으로 피로, 무기력, 부종, 체중변화, 통증, 기억력 저하, 수면장애, 소화기 불편증상, 피부증상 등이 있다. 이 때, 다른 검사들과 더불어 호르몬 평가를 함께 시행하여 이에 대한 개선 치료를 고려하는 것이 증상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부신 호르몬 코르티솔(cortisol)과 dehydroepiandrosterone는 스트레스 반응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면서 함께 정신적 건강, 신체적 기능, 근력, 골밀도, 항염증 기능과 면역 조절 기능도 가진다. 성장호르몬은 성인에서는 지방 분해, 단백질 합성 촉진, 체질량과 골량 유지, 탄수화물 대사를 통한 혈당 조절, 심혈관기능, 인지기능 조절 등의 기능을 가진다. 따라서, 환자의 초기 평가 시에 부신 호르몬과 성장 호르몬에 대한 검사도 함께 고려되는 것이 필요하겠다.
영문 초록
Patients visiting functional medicine clinics frequently present with symptoms such as fatigue, lethargy, swelling, weight fluctuations, pain, memory issues, sleep problems, digestive discomfort, and skin conditions. In these cases, alongside other diagnostic tests, evaluating hormone levels may contribute to symptom improvement. Adrenal hormones, particularly cortisol and dehydroepiandrosterone, play a crucial role in stress responses and are also involved in regulating mental health, physical function, muscle strength, bone density, anti-inflammatory functions, and immune modulation. Growth hormone in adults is essential for fat metabolism, promoting protein synthesis, maintaining body composition and bone mass, regulating carbohydrate metabolism for blood sugar control, and supporting cardiovascular and cognitive functions. Therefore, during initial patient evaluation, it is important to consider assessing adrenal hormones and growth hormone levels to address these symptoms effectively.
목차
서론
본론
결론
Conflicts of Interest
Author Contributions
요약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오메가-3, -6 등의 다가불포화지방산의 이해와 활용
- 중금속 노출의 진단과 중금속 중독 치료
- 세포외소포체: 의생명 연구에서 세포 소통의 매개체로서 역할
- 기능성 소화불량증의 기능의학적 접근: 뇌-장축 불균형 1예와 위산저하증 2예
- 비만 표현형에 따른 비만 치료의 기능의학적 접근
- 편집자주: 기능의학과 킬레이션, 호르몬, 그리고 기능성 위장관 장애
- 태반 추출물의 의학적 근거와 임상적 활용
- 호르몬 검사의 기능의학적 접근: 부신과 성장 호르몬 중심으로
- 다낭성 난소 증후군의 기능의학적 접근
- 장내세균 불균형환자에서 역설적인 혈중 비타민 B12의 상승과 고호모시테인혈증 증례들
- 경구 요산 저하 약물에 반응하지 않는 고요산혈증 환자에서 킬레이션 치료의 효과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for Functional Medicine Vol.7 No. 2 Contents
참고문헌
- Emerging concepts in endocrine structure and functions
- Arch Gen Psychiatry
- Front Psychiatry
- J Clin Med
- Front Nutr
- Drugs
- J Clin Endocrinol Metab
- Mayo Clin Proc
- Lancet Diabetes Endocrinol
- Metametrix Institute
- J Med Invest
- Pharmaceuticals (Basel)
- J Restor Med
- Microorganisms
- Front Endocrinol (Lausanne)
- J Med Therap
- Front Endocrinol (Lausanne)
- The American Academy of Anti-Aging Medicine
- J Intern Med
- J Pediatr
- Rev Endocr Metab Disord
- Growth Horm IGF Res
- Amino Acids
- Int J Endocrinol
- Horm Metab Res
- Regul Toxicol Pharmacol
- J Nutr
- Eur J Endocrinol
- J Clin Endocrinol Metab
- J Clin Endocrinol Metab
- Clin Endocrinol (Oxf)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의 정신건강 중재에 대한 연구 동향: 계량서지학적 분석
-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한 부모 매개 중재(Parent-mediated intevention)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