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pplication of the Horticultural Therapy Activity to the Curriculum of Korean Kindergarten
- 발행기관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 저자명
- 김정신(Jung-Shin Kim)
- 간행물 정보
- 『유라시아연구』제7권 제1호, 281~30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3.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오늘날 우리사회는 산업화, 도시화, 핵가족화 등에 따른 급격한 변화로 인간성과 도덕성의 상실과 같은 많은 사회문제가 야기되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를 인식한 많은 학자들은 인간을 건강한 발달로 이끌기 위해 심리치료나 상담을 통한 삶의 질 향상과 스트레스 해소에 노력해 왔다. 특히 유아기는 모든 발달영역의 기초가 형성되는 시기로 이 때 형성된 가치관과 태도는 이후의 삶의 태도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유아들을 대상으로 한 예방적 차원의 프로그램이 절실히 요구된다 하겠다.
근래에는 그 대책의 하나로 유아기부터 올바른 인격형성과 사회성 확립을 위해 바른 행동과 가치관을 심어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인식되면서 유아교육현장에서의 자연친화 교육으로서의 원예치료활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현재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자연친화적 접근으로서의 원예치료활동은 아직은 일방적인 식물에 대한 지식이나 환경에 대한 정보취득 등의 단편적인 지식주입 및 관찰 위주의 프로그램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이벤트성 프로그램을 계획하여 일회성 활동으로 그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또한 유아교육현장에서 유아들의 정서적 안정과 발달에 적용하고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원예치료프로그램과 교사의 인식 및 실천 부족으로 인하여 원예치료활동을 지속적으로 진행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아 원예치료활동관련 선행연구들을 통해 유아교육 현장에서의 원예치료활동의 전반적 실태와 효과 및 제7차 유치원 교육과정과의 관련 가능성에 대하여 살펴보고, 원예치료활동내용이 제7차 유치원 교육과정과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유아교육현장에서 원예치료활동을 통합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유아 원예치료활동의 내용을 원예식물의 종류, 원예식물 건강하게 키우기, 원예식물의 활용, 기타 원예활동의 4가지 영역으로 나누고 각 영역별로 적용 가능한 원예치료활동 내용을 선정한 후 제7차 유치원 교육과정과의 관련성을 구체적으로 분석·제시하였다.
유아기는 정서적 감수성이 민감하여 자연이나 원예치료활동의 교육적 효과가 가장 뛰어난 시기이며, 이 시기에 형성된 가치관과 태도는 그 이후의 삶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유아기에 자연에 관심을 가지고 체험하며 이에 대한 바른 태도를 기르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대부분의 보육 및 유아교육기관이 아파트단지나 상가밀집지역에 위치하고 있어 자연과 접할 수 있는 바람직한 환경을 조성하기에는 어려움이 많은 것이 현실이며, 자연환경에 인접한 기관일지라도 환경에 대한 관심을 교육실제에 적용하려는 의도적인 노력이 보편화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선행 연구결과들에 의하면, 호기심 많고 활동적인 유아를 대상으로 한 원예치료활동은 신체적, 정서적, 사회·도덕적, 인지·언어적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유아의 전인적인 발달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다양한 학문영역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어 원예치료활동 통하여 유아는 이러한 다양한 지식을 통합할 수 있다. 즉 원예치료활동은 제7차 유치원 교육과정에서 목표로 하는 건강생활, 사회생활, 표현생활, 언어생활, 탐구생활 등 각 생활영역의 다양한 목표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어 유치원 교육과정이 추구하는 통합교육에 적합하다고 하겠다. 원예치료활동은 유아들의 자연친화적 태도, 과학적 태도와 탐구능력, 정서지능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유년기부터 성인기에 이르기까지 비장애인은 물론 장애인들의 정서적 안정에 매우 효과적임이 입증되었으며 부정적인 정서인 불안과 우울의 정도도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또한 원예치료는 그 활동을 통해서 정서적 안정을 도모하고, 나아가 또래들과 함께 살아가는데 필요한 규칙이나 질서를 학습함으로써 사회성을 향상시켜 또래들과의 관계를 개선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기도 한다.
본 연구결과는 치료 목적의 부차적 활동으로 병원이나 재활원 등에서 주로 행해지던 원예치료의 적용범위를 유아교육현장으로 확대·도입함으로써 원예치료효과에 대한 인식을 확대하여 원예치료활동을 유치원 교육과정에 통합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유아교육현장에서 자연을 인간과 공존하는 대상으로 인식하고 그 가치를 이해함으로써 자연에 대한 보다 긍정적인 태도를 갖출 수 있는 다양한 원예치료활동을 지속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유치원 교육의 목표인 유아들의 전인적인 발달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oday's rapid changes along with industrialization, urbanization, and the increase of nuclear family have arisen many of social problems such as people's loss of humanity and morality. A large number of scholars who are aware of those problems have made efforts to achieve well-being and relief of stress-which lead to sound development of human-by psychotherapy and counseling. Early childhood, especially, is an important time when the primary developmental areas are formed. Since an infant's value and attitude formed in this age can influence greatly to the attitude of the lest of his life, it can be said that a preventive program is very necessary.
As one of the measures, it is recently believed that forming fine behavior and value is essential for establishing upright personality and sociality. Accordingly, the horticultural therapy activity as a part of Nature Friendly Education in the fields of edu-care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draws attention. However, current horticultural therapy activities as a natural friendly way in edu-care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es drill only fragmentary knowledge-such as unilateral teaching of certain plants or environments - or merely organize programs of natural observation. Moreover, most of them are not constant but designed to be one-off programs. Lack of diverse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s which to be adopted in the field of edu-care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as well as teachers' awareness make the constant horticultural therapy activities impossible.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overall condition and effectiveness of horticultural therapy activity in the field of edu-care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as well as how it is related to the 7th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by reviewing existing researches which are related to horticultural therapy activities for children. Analysing how the content of the horticultural therapy activity is related to the 7th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in detail will contribute to applying horticultural therapy activities to the field of edu-care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To achieve the purpose, the study divided the contents of children's horticultural therapy activity into four domains-type of the plant, raising the plant well, making the use of the plant, and other horticultural activities-then collected some contents of horticultural therapy activity appliable to each domain, and finally analyzed the relationship with the 7th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The early childhood is the time when natural or horticultural therapy activity can be performed most effectively since it is when one's emotion is sensitive. Also, since one's value and attitude formed in early childhood influence to the lest of his life enormously, it is very important to have an interest toward nature, experience it, and have a fine attitude toward the nature in this time. However, the realities are not supportive. Most of edu-care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es are located in apartment complexes or office districts so that there are difficulties to create a nature-experiencing environment. Besides, although an institute is located near natural environment, it rarely makes a conscious effort to apply the environmental interest to the actual classroom.
According to the existing studies, horticultural therapy activities among very curios and active children had positive effect on physical, emotional, socio-moral and cognitive-linguistic development, as a result, made their whole development possible. The existing studies also asserted that the horticultural therapy activity is highly related to diverse fields of studies, so that children can integrate diverse knowledge through horticultural therapy activities.
목차
Ⅰ. 서 론
Ⅱ. 유아교육현장에서의 원예치료활동
Ⅲ. 유아 원예치료활동의 내용
Ⅳ. 원예치료활동 내용의 유아교육과정에의 적용
Ⅴ.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국가주도형 프랑스 문화정책과 시사점
- 『안나 카레니나』에 나타난 러시아 농민상과 러시아 농업 발전 모델에 대한 담론 고찰
- 中国个体工商户的发展现状与制度保障
- 한국과 일본의 노인복지제도에 관한 비교 연구
- 국가기술전략 관점에서의 기초 융합 연구개발(R&D) 기획 선진화 방안 연구: EU, 일본, 미국 사례 분석 기반
- 한ㆍ중 FTA: 지역주의 맥락에서
- 한국 주가지수 변동성과 일본 주가지수 변동성
- 금융위기 이후 영국과 미국의 금융규제시스템 개혁에 관한 연구
- Effects of Employee Participation Plans on Claim Denials in the U.S. Workers Compensation Insurance System
- 상태공간모형을 이용한 신흥국 채권수익률 스프레드 분석
- 한국 대학의 창업보육센터 운영효율성 분석에 관한 연구
- 원예치료활동의 한국유아교육과정에의 적용
- 한·EU FTA의 거시경제효과 비교·분석: CGE 시뮬레이션 결과의 비판적 검토
- 외자유치에 있어서 조세제도의 역할: 동아시아지역을 중심으로
- 러시아의 동북아 에너지외교와 한국
- 북한의 대미 외교적 기동성에 관한 연구
- 한국증권시장에서 사이버 IR이 주가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인공지능(AI)과 윤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