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omparative Analysis on Macroeconomic Effects of the Korea-EU FTA : A Critical Investigation of Simulation Results
- 발행기관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 저자명
- 신범철(Beom-Cheol Cin)
- 간행물 정보
- 『유라시아연구』제7권 제1호, 125~150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3.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우리나라는 1990년대 초만 하여도 다자주의 통상정책을 추진하였으나 1990년 말부터 다자주의와 지역주의(regionalism)를 병행하는 통상정책을 수행하고 있다. 2004년 칠레와의 FTA(Free Trade Agreement: FTA) 발효를 시작으로 싱가포르, EFTA, 그리고 ASEAN 경제권과의 FTA를 체결하여 발효 중이다. 이후 정부는 ‘높은 수준의 동시다발적인’ FTA 추진을 기본목표로 하고 있다. 자유무역의 역외국으로 불이익을 피하고 거대경제권에 대한 교두보 확보를 위해 다수국과 협상하며 경제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투자, 서비스, 정부조달까지 확대 추진한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2009년 현재 미국과 우리나라는 어떤 FTA보다 높은 수준의 FTA가 체결되어 있고 EU와는 가서명된 상태이다.
EU 27개국의 경제규모는 미국을 능가하고 역내무역을 포함하면 무역규모 역시 세계의 1/3에 해당한다. 또한 EU는 우리에 대한 최대 투자국이자 중국 다음으로 최대 교역상대국이다. EU는 경제규모나 교역량 면에서 미국과 다름없는 거대 협상상대국임에도 불구하고 한ㆍEU FTA는 한ㆍ미 FTA에 비해 언론과 국민의 관심을 상대적으로 크게 받지 못하였다. 이러한 관심 부족은 한편에서는 정부의 폐쇄성과 일방적인 정책추진 때문이라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사실 한ㆍEU FTA 체결의 경제효과는 한ㆍ미 FTA와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아직 충분히 평가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특히, 2000년대 세계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양자(bilateral)간 FTA 체결의 급증과 지역주의의 확산으로 수입관세율이 낮아지면서 양자간 FTA 체결의 경제효과가 감소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충분히 고려하지 못하고 있다.
이 논문은 한ㆍEU와 한ㆍ미 FTA로 인한 관세인하의 경제적 효과를 새로운 GTAP 데이터를 기반으로 CGE모형을 통해 비교ㆍ검토하고 그 결과를 평가하고자 한다. 양자간(bilateral) FTA의 경제적 효과는 관세인하 혹은 철폐로 인한 무역 확대 효과와 非무역장벽 제거로 발생하는 경제적 효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전자의 관세인하 혹은 철폐의 경제효과는 CGE모형을 바탕으로 정량적으로 평가될 수 있다. 다른 한편 후자의 非무역장벽 철폐의 효과는 협정문의 조항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정성적으로 평가될 수 있을 것이지만 정량화하기 쉽지 않다. 따라서 이 연구는 후자의 비무역장벽 제거에 따른 경제효과보다는 전자의 CGE모형에 의한 관세 인하의 효과를 정량적으로 분석하는데 중점을 두고자 한다.
추계 결과를 보면, 우선 서비스 산업의 개방을 전제하지 않을 경우 한ㆍEU FTA의 경제효과는 실질 GDP 증가율로 0.14%∼0.18%로 나타난 반면 서비스 산업에서 관세할당치를 감안하여 50% 관세인하를 가정할 경우 0.54%∼0.86%로 나타나고 있다. 하지만 후자의 서비스산업 관세인하를 가정한 한ㆍEU FTA 체결의 경제효과는 관세할당치 측정방법의 합당성에 관한 논란이 지속되어 그 결과에 대한 신뢰성이 낮다. 이 점을 감안한다면, 한ㆍEU FTA의 경제효과는 선행연구의 주장과는 달리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다음으로 한ㆍ미 및 한ㆍEU FTA가 동시에 발효된다고 하더라도 두 FTA 효과가 서로 보완적 관계를 갖기 보다는 대체적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각각 FTA 경제효과의 합이 두 FTA가 동시에 발효될 경우의 경제효과 보다 크게 나타나기 때문이다. 이 결과는 현 정부의 ‘동시 다발적인’ FTA 정책이 시너지 효과를 유발한다는 주장이 근거가 약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2004년 기준인 GTAP version 7 DB를 사용할 경우 2001년 기준인 GTAP version 6 DB를 사용한 결과에 비해 한ㆍ미 FTA 경제효과가 두드러지게 낮아지고 한ㆍEU FTA의 거시경제효과 역시 비슷하게 감소하는 패턴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FTA의 경제적 효과가 감소하는 원인은 여러 가지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으나, 우선 세계적인 무역자유화 추세로 인하여 양자간 FTA에 의한 관세인하 효과가 축소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 FTA의 경제적 효과가 감소하는 것은 한국 제조업의 공동화 현상으로 수출의 부가가치 창출효과가 여전히 낮고, 관세인하로 인한 제조업체의 수출유발 효과가 낮아지기 때문으로 보인다.
영문 초록
Since the Korean economic crisis in 1997, Korean government has place more emphasis on regional policy cooperation rather than multilateral cooperation in order to minimize negative effects of other FTAs. Since the first FTA with Chile took effect in 2004, three more FTAs, with Singapore, EFTA, and ASEAN, have come into effect but Korea is still negotiating free trading with Mexico, Peru, Australia, New Zealand, GCC, and Canada.
Korean government has considered the Korea-EU FTA very important because the EU is the world's largest economic bloc which includes 27 european countries with a total population of 487 million people. The EU is one of major trading partners to Korea. In 2007, the EU is the second largest export market to Korea and the fourth largest importing partner. Furthermore, the EU is also one of major foreign investors in Korea and its investment share is 41.2% of Korea's total foreign direct investment in 2007.
Despite the importance of the Korea-EU FTA, its economic effects have not been evaluated enough yet in contrast with much debate on the Korea-U.S. FTA. In particular, as most of studies did not consider the tariff cuts due to free trade movement during the 2000s in the world, the macroeconomic effects of the Korea-EU FTA has not been fully examined and the issue is still an open question. It has been argued that the economic effects of Korea-EU FTA would not be fully evaluated for lack of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and negotiation process which should have been provided by government.
This paper criticall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a Korea-EU FTA using the CGE model under various scenarios including the Korea-U.S. FTA. In simulating such economic effects, the paper uses the GTAP static model based on a new GTAP data set. The paper also comparatively analyzes the macroeconomic effects of the bilateral FTA between Korea and EU can be caused by either tariff reduction or elimination of non-tariff trade barriers. The former economic effects can be examined quantitatively in the CGE model framework but the latter effects can be evaluated qualitatively but hardly analyzed quantitatively. This study will place more emphasis on quantitative effects of tariff reduction between Korea and EU, rather than those of elimination of non-tariff trade barriers.
Most of all, the simulated results show that Korea's real GDP would increase by 0.14-0.18% due to the Korea-EU FTA, under the assumption of the full elimination of tariffs in all agricultural and manufacturing sectors except service industries. On the other hand, under the same scenario additionally with reduction in trade barriers in service sectors by 50%, the real GDP effect of the Korea-EU FTA would be expected to increase by 0.54-0.86%. However, it is hard to measure exactly trade barriers to the service sectors because of lack in information and cross-country data on the trade barriers. For this reason, the paper uses Hoekman's tariff equivalents(1995) in the service industries but Hoekman's measures are still controversial. Considering the limitation to Hoekman's measures, the simulation results for the economic effect of the Korea-EU FTA under the scinario would not be that credible in contrast to the government argument.
Next, the CG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both the Korea-EU FTA and the Korea-U.S. FTA would not be complementary. The economic effects of the Korea-EU FTA would be offset by the Korea-U.S. FTA. This implies that there is no robust evidence for government argument that both the FTAs have complementary effects.
Finally, the results show that the real GDP effect of the Korea-EU FTA could be smaller when the GTAP DB version 7 is used for the CGE model rather than when the GTAP version 6 is used. This implies that the economic effects of the Korea-EU FTA and the Korea-U.S. FTA as well would be smaller over time.
목차
Ⅰ. 서 언
Ⅱ. 한ㆍEU 간의 경제 현황 및 관계
Ⅲ. 한ㆍEU FTA 경제효과에 관한 선행연구 검토
Ⅳ. 한ㆍEU FTA 경제효과 분석
Ⅴ. 시사점과 결어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국가주도형 프랑스 문화정책과 시사점
- 『안나 카레니나』에 나타난 러시아 농민상과 러시아 농업 발전 모델에 대한 담론 고찰
- 中国个体工商户的发展现状与制度保障
- 한국과 일본의 노인복지제도에 관한 비교 연구
- 국가기술전략 관점에서의 기초 융합 연구개발(R&D) 기획 선진화 방안 연구: EU, 일본, 미국 사례 분석 기반
- 한ㆍ중 FTA: 지역주의 맥락에서
- 한국 주가지수 변동성과 일본 주가지수 변동성
- 금융위기 이후 영국과 미국의 금융규제시스템 개혁에 관한 연구
- Effects of Employee Participation Plans on Claim Denials in the U.S. Workers Compensation Insurance System
- 상태공간모형을 이용한 신흥국 채권수익률 스프레드 분석
- 한국 대학의 창업보육센터 운영효율성 분석에 관한 연구
- 원예치료활동의 한국유아교육과정에의 적용
- 한·EU FTA의 거시경제효과 비교·분석: CGE 시뮬레이션 결과의 비판적 검토
- 외자유치에 있어서 조세제도의 역할: 동아시아지역을 중심으로
- 러시아의 동북아 에너지외교와 한국
- 북한의 대미 외교적 기동성에 관한 연구
- 한국증권시장에서 사이버 IR이 주가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인공지능(AI)과 윤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