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체제 전환 이후 폴란드의 교육 개혁과 의미
이용수 7
- 영문명
- Education Reform and Its Meaning in Polandafter the Transition
- 발행기관
- 통합유럽연구회
- 저자명
- 이옥진(Okjin Lee)
- 간행물 정보
- 『통합유럽연구』제15권 2집, 123~156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7.31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대부분 국가에서 교육받을 권리는 기본인권에 포함되어 있으며, 이를 실천하는 것은 국가와 공공기관의 몫이다. 폴란드의 의무 교육은 폴란드 헌법과 교육제도법에 명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모든 폴란드 국민은 교육을 받을 권리가 있으며, 18세까지 의무 교육으로 규정되어 있다.
체제 전환이라는 변곡점을 거쳐 20세기를 지나서 21세기로 접어들면서 폴란드의 정치, 경제, 사회 제도에는 많은 변화가 있었다. 이에 따라 폴란드 교육 제도 또한 변화를 가져왔다. 체제 전환 이후 지난 30년 동안 민주화와 사회 개방의 영향으로 폴란드 교육 제도는 구조와 조직, 내용 측면에서 다양한 변화를 거쳐 왔으며, 새로운 비전을 제시하고 프로그램 개발을 요구했다. 1989년 이후로 폴란드에서는 비공립 학교 설립이 가능해졌으며, ‘학교 개혁 사무국(Biuro do spraw Reformy Szkolnej)’이 설립되었다. 여러 차례의 교육 개혁 중에서도 1999년과 2017년 개혁의 가장 큰 특징은 학교 교육 제도의 구조적 변화이다.
1999년에는 국가교육부(Ministerstwo Edukacji Narodowej)의 주도하에 ‘교육 제도 개혁 프로젝트(Projekt reformy systemu edukacj)’가 시행되었다. 이 프로젝트는 무엇보다도 폴란드가 그동안 유지해 왔던 학교 교육의 기본구조를 변화시켰고, 폴란드 교육 수준을 전반적으로 향상하고 균등한 교육 기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2017년 교육 제도 개혁 중 가장 눈에 띄는 것은 지난 교육 제도 개혁에서 생겨난 중학교를 폐지하고 더불어 초등학교 교과 과정을 8학년으로 개편하는 것이다.
유럽연합 내 시장 통합과 EU 가입 이후 폴란드의 미래와 발전은 국민의 교육 수준에 달려 있다. 이 시대의 중요한 문제는 의심의 여지 없이 보편적이면서 동시에 진보적인, 확장된 전통적 가치에 기반한 다각적인 교육이다. 폴란드는 교육 개혁을 통해 새로운 제도를 만들었고, 이를 통해 학생들이 세계화 과정의 무형적 현상 그리고 경제 및 사회적 과정과 변화를 제대로 이해하고 더욱 훌륭한 인격을 가진 성인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준비할 수 있는 교육 제도를 지향한다.
영문 초록
In most countries, the right to education is enshrined in the list of fundamental human rights, and it is the responsibility of the state and public institutions to ensure its fulfillment. Compulsory education in Poland is mandated by the Polish Constitution and the Education System Act. According to these laws, all Polish citizens have the right to education, which is compulsory until the age of 18.
Since 1989, Poland has allowed the establishment of non-public schools, marking a significant shift in educational policy. Additionally, the creation of the Office for School Reform (Biuro do spraw Reformy Szkolnej) has facilitated ongoing reforms aimed at improving the education system. Notably, the education reforms of 1999 and 2017 introduced structural adjustments to the schooling system, reflecting the evolving educational needs and goals of Polish society.
In 1999, the Project for the Reform of the Education System (Projekt reformy systemu edukacji) was implemented under the leadership of the Ministry of National Education (Ministerstwo Edukacji Narodowej). This initiative aimed to overhaul the basic structure of schooling in Poland, with the goal of enhancing the overall quality of education and ensuring equal access for all. One of the most notable reforms in 2017 was the elimination of middle schools, which had been introduced in the previous reform. This reform also involved restructuring the primary school curriculum into eight grades.
목차
Ⅰ. 서론
Ⅱ. 폴란드의 교육 정책
Ⅲ. 전후 폴란드 교육 개혁
IV. 1999년 교육 개혁
Ⅴ. 2017년 교육 개혁
Ⅵ.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체제 전환 이후 폴란드의 교육 개혁과 의미
- 체코의 테크노크라트 포퓰리즘과 민주주의 탄력성
- 위기 속의 교육: 17세기 헝가리의 트란실바니아 중심 교육 혁신
- 드골과 유럽통합: 반유럽주의자와 현실주의자 사이에서
- 이슬람-좌파주의(Islamo-Leftism)의 연원, 논쟁, 반향: 프랑스 사례를 바탕으로
- 동유럽 경제 유럽화, 저항 요인과 그 특징: 크로아티아를 중심으로
- 유럽연합의 북극 지역 단기체류오염원(short-lived climate pollutants) 감축을 위한 국가 배출 감축 의무량 지침(National Emission Reduction Commitments Directive) 시행과 한국 정부를 위한 정책 시사점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