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비판적 교육과학연구의 철학적 기초로서 비판적 실재론: 바스카의 설명적 비판의 이론을 중심으로

이용수  128

영문명
Critical Realism as a Philosophical Foundation of Critical Research of Science of Education : Focusing on Bhaskar’s Theory of Explanatory Critique
발행기관
한국교육사상학회 (구 한국교육사상연구회)
저자명
곽태진(Taejin Kwak)
간행물 정보
『교육사상연구』제38권 제2호, 1~19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5.31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과학적 탐구에서의 사실과 가치 그리고 이론과 실천 문제에 대한 숙고는 비판적 지향의 교육연구를 적절하게 수행하기 위해 중요한 철학적 기초작업이다. 자연과학을 포함한 과학 일반의 과제를 인과적 설명으로 설정하는 비판적 실재론은 사회과학이 언제나 청중을 향한/위한 것이라고 여긴다. 이런 이유에서 사회과학은 대상을 인과적으로 설명하면서 허위의 담론과 그것을 발생시킨 원천을 부정적으로 평가해야 한다. 사회과학의 설명은 또한, 허위의 담론과 그 원천을 적절한 방향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실천을 요청하고 뒷받침해야 한다. 비판적 실재론의 이러한 ‘설명적 비판의 이론’을 고려하면, 비판적인 경험과학적 교육연구는 교육현상에 대한 인과적 설명에 바탕을 두고, 관련된 허위의 교육적 담론과 그 원천에 대한 비판으로, 그리고 허위의 담론을 발생시킨 그 원천을 적절하게 변화시키기 위한 실천으로 나아가야 한다. 비판적 교육연구를 통해 도출된 적절한 지식이 적절한 실천을 대신할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그것은 적절한 교육으로의 변화를 위해 필수적인 조건이다.

영문 초록

To conduct critical-oriented educational research appropriately, deliberation on the issues of fact-value and theory-practice in scientific inquiry is an important philosophical groundwork. Critical realism, which sets the task of science in general as causal explanation, considers social sciences to be always directed toward/for an audience. Hence, social sciences must causally explain its subject while negatively evaluating the inappropriate discourse and the sources that generated it. The explanations should also request and support practices that transform false discourse and its sources in appropriate directions. Considering Bhaskar’s “theory of explanatory critique” of critical realism, critical research of empirical science of education should be based on causal explanations of educational phenomena, proceed with critique of the related false educational discourse and its sources, and practice to appropriately change the sources. While appropriate practice cannot be replaced by the appropriate knowledge derived from critical educational research, it is a necessary condition for the change toward appropriate educ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인과적 설명으로서의 과학과 사회과학의 비판적 성격
Ⅲ. 이중적 비판으로서의 교육과학연구와 실천
Ⅳ.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곽태진(Taejin Kwak). (2024).비판적 교육과학연구의 철학적 기초로서 비판적 실재론: 바스카의 설명적 비판의 이론을 중심으로. 교육사상연구, 38 (2), 1-19

MLA

곽태진(Taejin Kwak). "비판적 교육과학연구의 철학적 기초로서 비판적 실재론: 바스카의 설명적 비판의 이론을 중심으로." 교육사상연구, 38.2(2024): 1-1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