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여성교육자 이동희(李東姬)의 유아교육사상 : 「어린이를 위한 어머니 강좌」를 중심으로
이용수 14
- 영문명
- Early Childhood Educational Thought of Female Educator Donghee Lee (李東姬):Focusing on the “Mother's Lecture for Children”
- 발행기관
- 한국교육사상학회 (구 한국교육사상연구회)
- 저자명
- 양지원(Jiwon Yang)
- 간행물 정보
- 『교육사상연구』제38권 제2호, 73~104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5.31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세기 여성교육자 이동희가 연재했던 「어린이를 위한 어머니 강좌」의 글을 분석하여 그의 유아교육사상을 파악하고, 그 의의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어린이를 위한 어머니 강좌」의 분석’에서는 『국제신문』에 1977년 5월 18일부터 11월 30일까지 연재한 총 24편의 이동희의 글을 형식적, 내용적 특징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이동희의 유아교육사상’에서는 이동희가 유아교육에 가진 문제의식과 연결하여 그의 교육사상을 유아교육이란 무엇인가, 유아를 어떠한 관점에서 보고, 어떻게 대해야 하는가, 유아를 어떻게 교육해야 하는가의 세 가지 질문을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동희의 유아교육사상을 토대로 그의 교육사상이 주는 ‘교육적 의의’에 대해 논의하였다. 본 연구에서 당시 이동희의 주된 비판은 영재교육, 특수교육이라는 목적하에 지나친 지적 교육에 집착하여 유아교육을 잘못된 방향으로 이끌고 있는 기성세대들의 교육 세태였다. 이동희는 이의 대안으로 지적, 신체적, 정의적, 사회적 능력 등이 고루 발달할 수 있는 전인교육에 목표를 두고, 교육의 대상인 유아의 인권을 존중하며, 자발성과 자율성에 토대를 둔 놀이 중심의 교육관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이동희의 교육사상은 이론보다는 교육 현장에 기반을 둔 실제적인 교육이라는 특징을 지닌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articles of Mother's Lecture for Children which was serialized by Donghee Lee, a female educator in the 20th century, to understand her early childhood educational thought and to reveal its significance. To this end, first, An Analysis of Mother's Lecture for Children, a total of 24 articles by Donghee Lee, which were serialized in the International Newspaper from May 18 to November 30, 1977, were analyzed by dividing them into formal and content characteristics. Next, in “Donghee Lee's Early Childhood Educational Thought”, we examined Donghee Lee's educational thoughts through three questions: 1. What is early childhood education? 2. How to view and treat young children? 3. How to educate young children? Based on Lee's early childhood educational thought, the significance of her educational thought is discussed. It was found that Donghee Lee criticized the educational system of the older generation, which was obsessed with excessive intellectual education veered toward gifted and special education, lead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the wrong direction. As an alternative, Donghee Lee emphasized whole-person education, where intellectual, physical, affective, and social abilities can be evenly developed, respecting the human rights of young children, the subjects of education. She proposed play-oriented education based on spontaneity and autonomy. Donghee Lee's educational thought is characterized by practical education based on the educational field, rather than theory.
목차
Ⅰ. 서 론
Ⅱ. 「어린이를 위한 어머니 강좌」의 분석
Ⅲ. 이동희의 유아교육사상
Ⅳ. 교육적 의의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전쟁방지에 교육은 무엇을 할 수 있을까? : 몬테소리와 듀이의 논의를 중심으로
- Contradictions and Curiosities in the Conception of “Equality” in Education
- 여성교육자 이동희(李東姬)의 유아교육사상 : 「어린이를 위한 어머니 강좌」를 중심으로
- 경성제국대학 교육학 교수 마쓰즈키 히데오(松月秀雄)의 노작교육론에 관한 연구 : 신교육운동과의 관련을 중심으로
- 비판적 교육과학연구의 철학적 기초로서 비판적 실재론: 바스카의 설명적 비판의 이론을 중심으로
- 『아미타경』의 교육학적 해설 : 사바세계에서의 교육과 극락세계에서의 교육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생3막 평생교육을 위한 노년기 배움형 일자리창출 플랫폼 개발 연구
-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민감성 및 창의적 교수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