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간호대학생의 전문직 자아개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이용수 50
- 영문명
- Factors influencing professional self-concept of nursing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휴먼이미지디자인학회
- 저자명
- 조인숙(In-Sook Cho) 류현숙(Hyun-Sook Ryu)
- 간행물 정보
- 『한국휴먼이미지디자인』제6권 제1호, 162~177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감성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3.31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간호대학생의 전문직 자아개념의 확립은 간호의 미래를 결정하는 중요한 부분으로 간호교육에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전문직 자아개념의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의 대상자는 간호학과 3~4학년 257명이며, 구조화된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전문직 자아개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전문직 자아개념은 임상실습 스트레스(r=-.295, p<.001)와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임상수행능력(r=.584, p<.001)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전문직 자아개념에 대한 영향요인은 임상수행능력(β=.316, p<.001), 전공 만족도(β=.394, p<.001), 실습동료와 관계 만족도(β=.141, p=.003), 임상실습 만족도(β=.131, p=.035)로 55.8%를 예측하였다(F=50.594, p<.001).
간호대학생의 전문직 자아개념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임상수행능력을 강화시키고 전공 만족도, 실습동료와 관계 만족도, 임상실습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교육적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romotion of professional self-conception among nursing students is an important part determining the future of nursing and is essential for nursing educ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nursing students' professional self-concept.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57 3rd and 4th year nursing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tructured survey, and factors affecting the professional self-concept were analyzed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nursing students' professional self-concept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clinical practice stress(r=-.295, p<.001) an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clinical competency(r=.584, p<.001). The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professional self-concept were clinical competency(β=.316, p<.001), satisfaction with major(β=.394, p<.001), satisfaction with relationships with practice colleagues(β=.141, p= .003), and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β=.131, p=.035), which explained 55.8% of the variance(F=50.594, p<.001).
In order to improve the professional self-concept of nursing studen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educational strategies to improve clinical competency, satisfaction with major, satisfaction with relationships with practice colleagues, and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 여성의 시대별 휴먼이미지에 관한 연구 - 여성잡지에 나타난 패션을 중심으로
- 민족통일의 눈 독도를 통한 남북교류에 대한 연구
- 공공도서관 이용자의 인식조사 연구 - 포천시를 중심으로
- 미술교육사업 운영자의 휴먼이미지 브랜드가치 극대화를 위한 방안 연구
- 간호대학생의 전문직 자아개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토픽모델링 기법을 활용한 대통령선거 TV토론 분석
- 흡연대학생의 우울과 스트레스
- 체험(실습)형태의 수업이 대학생의 교육가치 및 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체험경제이론을 중심으로
- Does religious activity affect life satisfaction?
- 퍼스널컬러 몰입도와 퍼스널컬러 진단 만족도 사이 유형화 성향의 매개효과 연구
- 클린뷰티 구성요인에 따른 화장품브랜드의 소비자 인식 - CJ올리브영 클린뷰티 선정브랜드를 중점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감성과학분야 BEST
- 라이프코칭 연구동향 및 라이프코칭에 대한 탐색적 연구 -긍정심리기반 중라이프코칭 연구동향 및 라이프코칭에 대한 탐색적 연구 -긍정심리기반 중·장년 대상 관점에서-장년 대상 관점에서-
- 명품 소비심리가 브랜드 충성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Z세대를 중심으로
-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부모교육에 대한 요구조사
복합학 > 감성과학분야 NEW
- 웹드라마 선택요인과 지속시청의도 간의 관계분석 연구
- 인구변화가 경상수지에 미치는 영향
- 뷰티산업별 유형에 따른 직무만족도가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MZ세대 뷰티산업 종사자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