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퍼스널컬러 몰입도와 퍼스널컬러 진단 만족도 사이 유형화 성향의 매개효과 연구
이용수 39
- 영문명
- A Study on The Mediating Effect of Tendency to Categorize between Personal Color Involvement and Personal Color Diagnosis Satisfaction
- 발행기관
- 한국휴먼이미지디자인학회
- 저자명
- 김수영(Su Young Kim) 최연성(Yeon Sung Choi) 리순화(Shun Hua Li)
- 간행물 정보
- 『한국휴먼이미지디자인』제6권 제1호, 59~70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감성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3.31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성인 여성 334명을 대상으로 설문하여 퍼스널컬러 몰입도와 퍼스널컬러 진단 만족도 사이 유형화 성향의 매개효과를 분석했다. 연구결과 퍼스널컬러 몰입도가 높을수록 유형화 성향과 퍼스널컬러 진단 만족도가 높은 경향이 있었으나 퍼스널컬러 몰입도와 퍼스널컬러 진단 만족도 사이 유형화 성향이 매개변수로 작용하는 경우 유형화 성향이 퍼스널컬러 진단 만족도에 부(-)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퍼스널컬러 전문가에 의하면 4계절이나 웜/쿨 등의 유형에 정확하게 속하지 않는, 경계가 불분명한 사람도 있는데 유형화 성향이 강한 경우 사람을 무리하게 특정 유형의 퍼스널컬러에 끼워 맞추는 확증편향을 갖게 되어 결과적으로 퍼스널컬러라는 도구를 이미지 연출에 효과적으로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상의 내용을 통해 퍼스널컬러를 이미지 연출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334 Korean adult women were surveyed and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tendency to categorize between personal color involvement and personal color diagnosis satisfaction. The study have shown that the higher personal color involvement, the higher the tendency to categorize and personal color diagnosis satisfaction. But if tendency to categorize acts as a mediating variable, tendency to categorize has negative(-) effect on personal color diagnosis satisfaction. According to personal color experts, there are people who do not exactly belong to categories such as four seasons or warm/cool, and if they have strong tendency to categorize, they have a confirmation bias to forcibly fit people into a specific category of personal color which can be interpreted as not being used effectively in image production. Through the above, it is expected that personal color can be effectively used for image production.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 여성의 시대별 휴먼이미지에 관한 연구 - 여성잡지에 나타난 패션을 중심으로
- 민족통일의 눈 독도를 통한 남북교류에 대한 연구
- 공공도서관 이용자의 인식조사 연구 - 포천시를 중심으로
- 미술교육사업 운영자의 휴먼이미지 브랜드가치 극대화를 위한 방안 연구
- 간호대학생의 전문직 자아개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토픽모델링 기법을 활용한 대통령선거 TV토론 분석
- 흡연대학생의 우울과 스트레스
- 체험(실습)형태의 수업이 대학생의 교육가치 및 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체험경제이론을 중심으로
- Does religious activity affect life satisfaction?
- 퍼스널컬러 몰입도와 퍼스널컬러 진단 만족도 사이 유형화 성향의 매개효과 연구
- 클린뷰티 구성요인에 따른 화장품브랜드의 소비자 인식 - CJ올리브영 클린뷰티 선정브랜드를 중점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감성과학분야 BEST
- 라이프코칭 연구동향 및 라이프코칭에 대한 탐색적 연구 -긍정심리기반 중라이프코칭 연구동향 및 라이프코칭에 대한 탐색적 연구 -긍정심리기반 중·장년 대상 관점에서-장년 대상 관점에서-
- 명품 소비심리가 브랜드 충성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Z세대를 중심으로
-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부모교육에 대한 요구조사
복합학 > 감성과학분야 NEW
- 웹드라마 선택요인과 지속시청의도 간의 관계분석 연구
- 인구변화가 경상수지에 미치는 영향
- 뷰티산업별 유형에 따른 직무만족도가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MZ세대 뷰티산업 종사자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