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민족통일의 눈 독도를 통한 남북교류에 대한 연구
이용수 8
- 영문명
- Research on inter-Korean exchanges through Dokdo, the eye of national unification
- 발행기관
- 한국휴먼이미지디자인학회
- 저자명
- 안재영(Jae Young Ahn)
- 간행물 정보
- 『한국휴먼이미지디자인』제6권 제1호, 137~161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감성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3.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남과 북은 반만년 이상을 함께 살아온 하나의 민족으로서 분단전까지는 역사는 물론 사회 ·문화적 공통점을 공유하며 살아왔다. 봉건왕조시대를 끝내고 근대화하는 과정에서 이웃나라 일본의 침략으로 촉발된 국토분단으로 떨어져 살아온지도 어느세 78년이란 긴 세월이 흘렀다. 그 후, 6.25 한국전쟁이라는 동족상잔의 비극적 전쟁과 정전 이후 70년이란 긴 세월을 지나게 되면서 남북한 사이에는 다양한 분야에서 다층적으로 이질적인 부분이 쌓여가고 있다.
이러한 남북한 주민 사이에 다면적, 다층적 이질감들이 늘어나고 있는 현상은 훗날 통일한국 시대를 맞게 되었을 때 남북 주민 통합에 큰 장애물로 작용할 수가 있다. 영토의 통합을 넘어 사회·문화적 이질감으로 인한 마음의 분단을 극복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들이 필요한 시점이다. 하지만 해방과 분단 그리고 정전이후 70년 넘게 이질적인 정치, 경제, 문화의 이질적 체제하였임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도 남북 양쪽에 아직도 한목소리를 내는 것이 있으니, 바로 “독도는 우리 땅”이다. 독도가 민족통일의 눈이자 디딤돌이 될 수 있다는 희망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다양한 북한의 간행물들을 통해 북한의 독도관점을 분석해 보면서 독도가 남과 북의 공동연구와 이질감 해소 그리고 민족통일의 디딤돌이 되는 길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영문 초록
South and North Korea are one nation who have lived together for more than 5,000 years, sharing history as well as social and cultural commonalities before the division of two Koreas. A long 78 years have passed since the end of the feudal dynasty era and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with the division of the country triggered by the invasion of neighboring Japan. Since then, as 70 long years have passed since the tragic fratricidal war called the Korean War and the armistice, multi-layered different cultures are accumulating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in various fields.
These phenomenons of increasing multi-faceted and multi-layered difference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n residents could act as a major obstacle to the integration of North and South Korean residents when the era of unified Korea comes in the future. It is a time when various efforts are needed to go beyond territorial integration and overcome the division of the mind caused by social and cultural heterogeneity. However, despite the heterogeneous political, economic, and cultural systems for over 70 years since liberation, division, and armistice, there is one direction that both North and South Korea still agree on: “Dokdo is our land.” We hope that Dokdo can become the eye and stepping stone of national unification.
On this study, we will analyze North Korea's perspective on Dokdo through various North Korean publications and suggest a way for Dokdo to become a stepping stone for joint research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resolution of differences, and national unific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북한의 독도 관련 간행물 현황
Ⅳ. 우표와 동전에 나타난 북한의 독도 현황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 여성의 시대별 휴먼이미지에 관한 연구 - 여성잡지에 나타난 패션을 중심으로
- 민족통일의 눈 독도를 통한 남북교류에 대한 연구
- 공공도서관 이용자의 인식조사 연구 - 포천시를 중심으로
- 미술교육사업 운영자의 휴먼이미지 브랜드가치 극대화를 위한 방안 연구
- 간호대학생의 전문직 자아개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토픽모델링 기법을 활용한 대통령선거 TV토론 분석
- 흡연대학생의 우울과 스트레스
- 체험(실습)형태의 수업이 대학생의 교육가치 및 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체험경제이론을 중심으로
- Does religious activity affect life satisfaction?
- 퍼스널컬러 몰입도와 퍼스널컬러 진단 만족도 사이 유형화 성향의 매개효과 연구
- 클린뷰티 구성요인에 따른 화장품브랜드의 소비자 인식 - CJ올리브영 클린뷰티 선정브랜드를 중점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감성과학분야 BEST
- 라이프코칭 연구동향 및 라이프코칭에 대한 탐색적 연구 -긍정심리기반 중라이프코칭 연구동향 및 라이프코칭에 대한 탐색적 연구 -긍정심리기반 중·장년 대상 관점에서-장년 대상 관점에서-
- 명품 소비심리가 브랜드 충성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Z세대를 중심으로
-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부모교육에 대한 요구조사
복합학 > 감성과학분야 NEW
- 웹드라마 선택요인과 지속시청의도 간의 관계분석 연구
- 인구변화가 경상수지에 미치는 영향
- 뷰티산업별 유형에 따른 직무만족도가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MZ세대 뷰티산업 종사자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