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체험(실습)형태의 수업이 대학생의 교육가치 및 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체험경제이론을 중심으로
이용수 14
- 영문명
- Experience(practice) type classes provide college students with educational value and Impact on course satisfaction : Focusing on experience economic theory
- 발행기관
- 한국휴먼이미지디자인학회
- 저자명
- 유효진(Hyo Jin You) 장석준(Seck Jun Jang)
- 간행물 정보
- 『한국휴먼이미지디자인』제6권 제1호, 107~136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감성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3.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국내에 소재하고 있는 대학교 중 체험(실습)형태의 수업을 듣고 있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체험요인을 Pine&Gilmore의 체험경제이론 속 4가지 측면(4E's: Entertainment, Education, Escapist, Esthetic)으로 분류하고 체험 수업의 교육 가치인 정서적·기능적 가치에 대하여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지각된 가치들이 대학생의 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2023년 12월 5일부터 12월 23일까지 서울, 경기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대학에 체험형태의 실습수업을 수강한 경험이 있는 예체능계열 대학생을 대상으로 구글 온라인 설문지를 배포하여 217부의 설문을 회수하였다. 이 설문 중에서 불성실한 설문 5부를 제외한 후, 최종분석에는 모두 212부가 이용되었다. 그리고 설문조사 실시 후 설문자료는 SPSS 24.0과 AMOS 24.0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확인적요인분석, 구조방정식모델 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체험 수업 참여 학생의 체험요인인 오락적 체험, 일탈적 체험은 정서적 가치에 대해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체험 수업 참여 학생의 체험요인인 오락적 체험, 교육적 체험은 기능적 가치에 대해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체험 수업 참여 학생의 교육가치인 정서적 가치와 기능적 가치는 수업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교육정책 추진 시 학생들의 수업 만족도에 긍정적 성향을 띈 다양한 체험형태라는 수단적인 교육관을 지양하고, 학습자를 위한 교육의 가치·이해에 대한 논의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lassifies experience factors into four aspects of Pine &Gilmore's experiential economy theory(4E's: Entertainment, Education, Escapist, Esthetic) for college students who are taking experiential (practical) classes in Korea, and empirically analyzes how perceived values affect the emotional and functional values of experiential classes.
To this end, from December 5th to December 23rd, 2023, 217 copies of the survey were collected by distributing a Google online questionnaire to college students in arts and sports who had taken experience-type practical classes at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fter excluding five unfaithful surveys among these surveys, a total of 212 copi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And for the survey data after the survey,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were conducted using SPSS 24.0 and AMOS 24.0.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entertainment and deviant experiences, which are the experience factors of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experiential clas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emotional value.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entertainment and educational experiences, which are the experience factors of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experiential clas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functional value. Third, it was analyzed that the emotional and functional values, which are the educational values of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experiential clas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lass satisfaction.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설계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 여성의 시대별 휴먼이미지에 관한 연구 - 여성잡지에 나타난 패션을 중심으로
- 민족통일의 눈 독도를 통한 남북교류에 대한 연구
- 공공도서관 이용자의 인식조사 연구 - 포천시를 중심으로
- 미술교육사업 운영자의 휴먼이미지 브랜드가치 극대화를 위한 방안 연구
- 간호대학생의 전문직 자아개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토픽모델링 기법을 활용한 대통령선거 TV토론 분석
- 흡연대학생의 우울과 스트레스
- 체험(실습)형태의 수업이 대학생의 교육가치 및 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체험경제이론을 중심으로
- Does religious activity affect life satisfaction?
- 퍼스널컬러 몰입도와 퍼스널컬러 진단 만족도 사이 유형화 성향의 매개효과 연구
- 클린뷰티 구성요인에 따른 화장품브랜드의 소비자 인식 - CJ올리브영 클린뷰티 선정브랜드를 중점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감성과학분야 BEST
- 라이프코칭 연구동향 및 라이프코칭에 대한 탐색적 연구 -긍정심리기반 중라이프코칭 연구동향 및 라이프코칭에 대한 탐색적 연구 -긍정심리기반 중·장년 대상 관점에서-장년 대상 관점에서-
- 명품 소비심리가 브랜드 충성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Z세대를 중심으로
-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부모교육에 대한 요구조사
복합학 > 감성과학분야 NEW
- 웹드라마 선택요인과 지속시청의도 간의 관계분석 연구
- 인구변화가 경상수지에 미치는 영향
- 뷰티산업별 유형에 따른 직무만족도가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MZ세대 뷰티산업 종사자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