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 초등 학습자 영어 쓰기 코퍼스 구축 및 오류분석
이용수 72
- 영문명
- An error analysis of English writing by Korean young learners based on corpora
- 발행기관
-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 저자명
- 유희연(Hee Yeon Yoo) 홍선호(Sun Ho Hong)
- 간행물 정보
- 『초등영어교육』제30권 3호, 129~152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types of errors that occur in the English writing of Korean elementary students. Learner corpora were constructed using English writings of 633 elementary students across various regions in Korea. Errors were identified with the assistance of Grammarly and ChatGPT-4o, and tagged according to the Louvain Error Tagging Manual. An analysis using AntConc revealed that the most frequent errors were in the order of form, articles, prepositions, noun number, punctuation, non-finite/finite verb forms, verb number, auxiliary verbs, and verb tense, indicating that articles, verbs, and nouns are the most challenging areas for Korean learners. An analysis of error frequency by grade level showed a decrease in errors related to form, prepositions, punctuation, and verb number as students progressed to higher grades, while errors in articles, noun number, non-finite/finite verb forms, verb tense, and auxiliary verbs increased. This suggests that while upper-grade students become more familiar with basic elements of English, they also attempt to use more complex sentence structures and verb forms. Additionally, there was little difference in the least frequent error types across different grade levels.
영문 초록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 방법
IV. 연구 결과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 초등 학습자 영어 쓰기 코퍼스 구축 및 오류분석
- 사고 지도 활용이 초등영어 학습자의 읽기 이해 및 자기관리 역량에 미치는 영향
- The Study of Effectiveness on Gamified PF and App Applied in Korean EFL Classes
- 영어과 교육과정의 어휘 목록과 규정 분석: 초등영어를 위한 주제적 분류와 시사점
- 2022 개정 초등 영어과 교육과정의 항존성 분석: 온라인 형성 평가 문항을 중심으로
- 초등영어교육 제30권 3호 목차
- Assessing Short-Term and Long-Term Impacts of AIDT on Student and Teacher Development: Introducing an AI Wellbeing Matrix
- 국내 학교 영어 교육 환경에서 초기 문식성 및 지도 효과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Young Korean EFL learners’ discrimination of AI-generated English front vowels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