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내 학교 영어 교육 환경에서 초기 문식성 및 지도 효과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이용수 35
- 영문명
-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early literacy and instructional effectiveness in the context of English education in Korean schools
- 발행기관
-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 저자명
- 배한숙(Han Suk Bae)
- 간행물 정보
- 『초등영어교육』제30권 3호, 49~7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n early literacy and instructional effectiveness in the context of English education in Korean schools and propose future improvements. Sixty two studies on early literacy were reviewed to assess the volume of research conducted during different curriculum revision periods, as well as their thematic and methodological characteristics. Additionally, 21 meta-analyses on the effectiveness of early literacy instruction were examined to identify successful instructional methods, teaching materials, and reported effect sizes. The results show that early literacy research gained momentum after the 2015 curriculum revision. While there has been a number of experimental studies on specific instructional methods and diagnostic studies on early literacy development, research on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remains limited. The meta-analyses have mainly focused on the effectiveness of phonemic awareness, vocabulary instruction, and extensive reading activities. However, core components of early literacy, such as alphabet knowledge, phonics, and fluency instruction, are under-researched, and their effectiveness has not been sufficiently validated.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offers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directions and discusses ways to improve early literacy education in the Korean English education context.
영문 초록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 방법
IV. 연구 결과
V.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 초등 학습자 영어 쓰기 코퍼스 구축 및 오류분석
- 사고 지도 활용이 초등영어 학습자의 읽기 이해 및 자기관리 역량에 미치는 영향
- The Study of Effectiveness on Gamified PF and App Applied in Korean EFL Classes
- 영어과 교육과정의 어휘 목록과 규정 분석: 초등영어를 위한 주제적 분류와 시사점
- 2022 개정 초등 영어과 교육과정의 항존성 분석: 온라인 형성 평가 문항을 중심으로
- 초등영어교육 제30권 3호 목차
- Assessing Short-Term and Long-Term Impacts of AIDT on Student and Teacher Development: Introducing an AI Wellbeing Matrix
- 국내 학교 영어 교육 환경에서 초기 문식성 및 지도 효과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Young Korean EFL learners’ discrimination of AI-generated English front vowels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와 ChatGPT 생성 텍스트의 어휘 및 구문 특성 비교: 코퍼스 기반 분석
- Coh-Metrix를 활용한 한국·일본·중국인 EFL 학습자의 영어 에세이에 나타난 언어적 특성 비교 분석
- 디지털 도구 패들렛(Padlet) 기반 영어 자유 글쓰기: 쓰기 불안감 극복과 학습 성과 향상을 위한 전략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