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Young Korean EFL learners’ discrimination of AI-generated English front vowels
이용수 72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 저자명
- Sejung Yang
- 간행물 정보
- 『초등영어교육』제30권 3호, 97~128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is study evaluates the perceptual accuracy of young Korean EFL learners in distinguishing front vowel contrasts /i/, /ɪ/, /ɛ/, and /æ/ in the coda voicing contexts bVd and bVt. Utilizing advanced AI-generated speech stimuli from Amazon Polly, the study explores the discrimination challenges faced by these learners. Participants (N = 17) were subjected to an AB/BA discrimination task with a ternary forced-choice setup. Despite a high overall discrimination accuracy (mean = 87.01%), the learners found the /ɛ/-/æ/ contrast particularly more challenging than the /i/-/ɪ/ contrast. This challenge can be attributed to the closely matched F1 frequencies of AI-generated stimuli for /ɛ/ and /æ/. Additionally, the inherent vowel length difference between /i/ and /ɪ/ likely served as a discernible cue, given its accessibility compared to spectral cues for young EFL learners. Results also indicate that participants more effectively discerned vowel contrasts following the voiced consonant /d/ than the voiceless /t/, suggesting that vowel acquisition in young Korean EFL learners can be enhanced in contexts with voiced codas, which extend vowel durations for better processing. The pedagogical implications of the study are that a targeted sequence of instruction, beginning with easier vowel contrasts like /i-ɪ/ in voiced coda contexts, can foster improved pronunciation. Additionally, incorporating AI tools and phonetic awareness exercises can further enhance English front vowel perception.
영문 초록
목차
I. Introduction
II. Literature Review
III. Method
IV. Results
V. Discussion
VI. Conclusion and pedagogical implications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 초등 학습자 영어 쓰기 코퍼스 구축 및 오류분석
- 사고 지도 활용이 초등영어 학습자의 읽기 이해 및 자기관리 역량에 미치는 영향
- The Study of Effectiveness on Gamified PF and App Applied in Korean EFL Classes
- 영어과 교육과정의 어휘 목록과 규정 분석: 초등영어를 위한 주제적 분류와 시사점
- 2022 개정 초등 영어과 교육과정의 항존성 분석: 온라인 형성 평가 문항을 중심으로
- 초등영어교육 제30권 3호 목차
- Assessing Short-Term and Long-Term Impacts of AIDT on Student and Teacher Development: Introducing an AI Wellbeing Matrix
- 국내 학교 영어 교육 환경에서 초기 문식성 및 지도 효과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Young Korean EFL learners’ discrimination of AI-generated English front vowels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