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The Study of Effectiveness on Gamified PF and App Applied in Korean EFL Classes
이용수 27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 저자명
- Shin-Hyung Choi
- 간행물 정보
- 『초등영어교육』제30권 3호, 177~205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participants’ vocabulary acquisition of gamified PF and apps in formal settings and how the gamified PF and Digital Flashcards of the app supported participants’ intrinsic motivation by drawing on the lens of intrinsic motivation theory. Eighty Korean EFL primary participants were introduced to gamified PF and Digital Flashcards on the app and their achievement in vocabulary acquisition and intrinsic motivation were assessed after the eight-week experiment. An analysis of the pre-test and post-test identified the degree of participants’ vocabulary acquisition, and a subsequent intrinsic motivation survey indicated that the gamified PF group and Quizlet group both reported enhanced intrinsic motivation. Additionally, findings from participants’ interviews provided further insight into how gamified PF and Digital Flashcards of the app supported or thwarted the effectiveness of vocabulary acquisition in terms of receptive and productive knowledge and their intrinsic motivation. This study sheds light on the potential of gamified PF and Digital Flashcards as integrated tools for L2 learning in formal settings.
영문 초록
목차
I. Introduction
II. Literature Review
III. Method
IV. Findings
V. Discussion and Implications
VI. Conclusion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 초등 학습자 영어 쓰기 코퍼스 구축 및 오류분석
- 사고 지도 활용이 초등영어 학습자의 읽기 이해 및 자기관리 역량에 미치는 영향
- The Study of Effectiveness on Gamified PF and App Applied in Korean EFL Classes
- 영어과 교육과정의 어휘 목록과 규정 분석: 초등영어를 위한 주제적 분류와 시사점
- 2022 개정 초등 영어과 교육과정의 항존성 분석: 온라인 형성 평가 문항을 중심으로
- 초등영어교육 제30권 3호 목차
- Assessing Short-Term and Long-Term Impacts of AIDT on Student and Teacher Development: Introducing an AI Wellbeing Matrix
- 국내 학교 영어 교육 환경에서 초기 문식성 및 지도 효과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Young Korean EFL learners’ discrimination of AI-generated English front vowels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제28권 제2호 목차
- 컴퓨터 기반 평가의 문항 유형별 응답 분석: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중학교 수학을 중심으로
- 역사적·심리적 발달에 따른 선형대수 학습 수준에 대한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