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어교육에서 문화 교육과정 연구의 새로운 탐색 - 소위 ‘다문화 교육’을 넘어
이용수 0
- 영문명
- The New Inquiry of Researching Culture Curriculum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 Passing ‘Multi-Cultural Education'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 저자명
- 지현숙(Hyun-Suk Jee)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화학』제7권 제1호, 261~290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6.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If we design Culture Curriculum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we should go beyond the unilateral explanation of Korean language and culture as assimilation. We need to overcome multi-culturalism and find a new educational agenda for the 21st century. In this research, I analyzed seven kinds of Korean textbooks and 30 institutions that teach the Curriculum of Korean Culture. Moreover, I carried out a survey targeting 140 stake-holders like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professors who teach in the Korean Department, Korean faculty and staff members. As a result, I found out that not only are they narrow-minded and assimilate Korean learners to Korean customs, but also that they focused on teaching the 'Korean language' and not the 'culture'. In terms of designing an alternative Cultural Curriculum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 suggest that we should consider three factors: first, Cultural Education for raising cultural awareness, second, Cultural Education for the cultivation of social norms, and third, Cultural Education for practicing attitude.
영문 초록
목차
Ⅰ. 들어가기
Ⅱ. 한국어교육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문화 교육의 비판적 분석
Ⅲ. 문화 교육과정 연구의 새로운 관점
Ⅳ. 나가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Role and Importance of Korean Cultural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 A Case Study of Malaysian Universities
- TV뉴스를 활용한 문화적 리터러시 교육 연구
- 한국어 문자 언어문화의 제도화와 훈민정음 : 문자 ‘훈민정음’의 창제와 해례본『훈민정음』의 간행을 중심으로
- 다문화교육을 위한 콘텐츠 개발과 교사교육의 방향
- 문화교수의 쟁점을 통해서 본 문화교수의 방향성 모색
- 포트폴리오를 이용한 학습자 참여적 한국어 문화 교수·학습 모형 연구
- 한국어교육에서 문화 교육과정 연구의 새로운 탐색 - 소위 ‘다문화 교육’을 넘어
- 미국의 한국어 학습자 의식 조사 연구
- 인지언어학과 TPR교수법에 의한 한국어 교육 활용방안 고찰 - 다의어 ‘잡다’를 중심으로
- 문학을 활용한 일제 강점기 역사문화 교육 -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경우를 중심으로
- <서동요> 배경설화의 구성방식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제28권 제2호 목차
- 컴퓨터 기반 평가의 문항 유형별 응답 분석: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중학교 수학을 중심으로
- 역사적·심리적 발달에 따른 선형대수 학습 수준에 대한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