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문화교수의 쟁점을 통해서 본 문화교수의 방향성 모색
이용수 7
- 영문명
- A Study on a New Direction of Culture Education: By Discussion of Controviersial Issues on Current Culture Education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 저자명
- 강현화(Hyoun hwa Kang)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화학』제7권 제1호, 1~30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6.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is study attempts to investigate several issues featured in Korean culture education and suggest a future direction in which cultural education should be oriented within the context of language education. In this paper, the following results are obtained by analyzing the previous studies and examining controversial issues about culture education. First, there has been a lack of discussion about the concept of culture and its scope that should be dealt with in language education. The scope of culture education can be differentiated by the purpose of learners as well as the target of education, which is associated with the learners' demand regarding culture education. Therefore, future discussions on culture education should be based upon the purpose-driven and target-specific approach rather than general discussion over the all aspects of the culture education. Second, by a comparative analysi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studies, this study finds that there is also a relative lack of discussion about inter-cultural and ethnographical cultural studies, and that a research focus should be placed on culture education contents that can cause communication problems. In addition, depending on the international influence of the so-called target culture and whether or not a learner has prior knowledge, there should be a discussion about what should be benchmarked and how to differentiate among a variety of foreign culture education methodologies. Third. this study tries to differentiate between culture education contents associate with language education and independent culture education and identify their methodological differences in culture education. A further discussion in this way can contribute to establishment of contents in cultural education within the context of language education.
영문 초록
목차
1. 도입
2. 이론적 배경
3. 선행 연구사 분석
4. 문화교수의 방향성 모색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Role and Importance of Korean Cultural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 A Case Study of Malaysian Universities
- TV뉴스를 활용한 문화적 리터러시 교육 연구
- 한국어 문자 언어문화의 제도화와 훈민정음 : 문자 ‘훈민정음’의 창제와 해례본『훈민정음』의 간행을 중심으로
- 다문화교육을 위한 콘텐츠 개발과 교사교육의 방향
- 문화교수의 쟁점을 통해서 본 문화교수의 방향성 모색
- 포트폴리오를 이용한 학습자 참여적 한국어 문화 교수·학습 모형 연구
- 한국어교육에서 문화 교육과정 연구의 새로운 탐색 - 소위 ‘다문화 교육’을 넘어
- 미국의 한국어 학습자 의식 조사 연구
- 인지언어학과 TPR교수법에 의한 한국어 교육 활용방안 고찰 - 다의어 ‘잡다’를 중심으로
- 문학을 활용한 일제 강점기 역사문화 교육 -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경우를 중심으로
- <서동요> 배경설화의 구성방식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생3막 평생교육을 위한 노년기 배움형 일자리창출 플랫폼 개발 연구
-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민감성 및 창의적 교수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