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포트폴리오를 이용한 학습자 참여적 한국어 문화 교수·학습 모형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f the learner participating teaching and learning model which utilizes portfolio for teaching Korean language culture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 저자명
- 권성미(Sung-Mi Kwon)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화학』제7권 제1호, 31~58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6.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is study attempts to investigate the foundations of teaching Korean culture for developing Korean learners' cultural literacy and to generate a learner participating teaching model. For this, the study establishes the goals and procedural objectives of teaching Korean culture in Korean language classes, and elaborates on the foundations of teaching culture specifically in terms of improving proficiency. The study leaves out general Korean culture which is not closely related to the language and categorizes the contents of Korean culture for Korean as a Second Language into two groups: the culture presented in the texts and presented in substantial language forms and the culture which is not presented in the texts but pragmatically acceptable. The study also maintains the significance of developing teaching methods which learners take the lead in bringing the real-world into the class. Finally, based on the foundations, a teaching model that utilizes television dramas and learning portfolios is proposed, and a module for such a model is provided.
영문 초록
목차
1. 서론
2. 한국어 문화 요소 교육의 목적과 내용
3. 한국어 문화 교수·학습 모형 개발의 토대
4. 포트폴리오를 이용한 한국어 문화 교수·학습 모형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Role and Importance of Korean Cultural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 A Case Study of Malaysian Universities
- TV뉴스를 활용한 문화적 리터러시 교육 연구
- 한국어 문자 언어문화의 제도화와 훈민정음 : 문자 ‘훈민정음’의 창제와 해례본『훈민정음』의 간행을 중심으로
- 다문화교육을 위한 콘텐츠 개발과 교사교육의 방향
- 문화교수의 쟁점을 통해서 본 문화교수의 방향성 모색
- 포트폴리오를 이용한 학습자 참여적 한국어 문화 교수·학습 모형 연구
- 한국어교육에서 문화 교육과정 연구의 새로운 탐색 - 소위 ‘다문화 교육’을 넘어
- 미국의 한국어 학습자 의식 조사 연구
- 인지언어학과 TPR교수법에 의한 한국어 교육 활용방안 고찰 - 다의어 ‘잡다’를 중심으로
- 문학을 활용한 일제 강점기 역사문화 교육 -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경우를 중심으로
- <서동요> 배경설화의 구성방식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제28권 제2호 목차
- 컴퓨터 기반 평가의 문항 유형별 응답 분석: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중학교 수학을 중심으로
- 역사적·심리적 발달에 따른 선형대수 학습 수준에 대한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