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인지언어학과 TPR교수법에 의한 한국어 교육 활용방안 고찰 - 다의어 ‘잡다’를 중심으로
이용수 6
- 영문명
-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Cognitive Linguistics and TPR Teaching Method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 Focusing on Polysemy Verb ‘japta’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 저자명
- 박수경(Su-kyung Park)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화학』제7권 제1호, 172~196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6.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In so called 'Glocality' era where globalization and localization are being proceeded together, more than million foreigners live here in Korea whose nationality and native languages. In this article, it is proposed to utilize cognitive linguistic analysis and TPR (Total Physical Response) teaching method to teach Korean language, in particular multi meaning verbs. cognitive linguistics and TPR teaching method are language teaching methods compatible with experialism, which is the mitigated relativism beyond the traditional objectivism, relativism and nihilism. It goes with the denial of dualism of body and mind where the experialism lands. Experialism provides the foreign learners with various language backgrounds with philosophical base in foreign language learning by trying to interpret the meaning of language based on the body, which is common in all human beings, although it places great importance on their experiences. In this article, the focus was placed on the verb of 'japta'. A teaching method was proposed borrowing from the traditional semantics analysis results applying phenomenon-a concept in the frame of cognitive linguistics, core schema and container metaphor. Additionally, the previous studies were supplemented to clarify the multi-meaningful structure of ‘japta’. This study confirmed that cognitive linguistics and TPR teaching method can be applied to foreign language education efficiently.
영문 초록
목차
1. 들어가며
2. 인지언어학과 TPR교수법
3. ‘잡다’의 의미항목과 지도방안
4.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Role and Importance of Korean Cultural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 A Case Study of Malaysian Universities
- TV뉴스를 활용한 문화적 리터러시 교육 연구
- 한국어 문자 언어문화의 제도화와 훈민정음 : 문자 ‘훈민정음’의 창제와 해례본『훈민정음』의 간행을 중심으로
- 다문화교육을 위한 콘텐츠 개발과 교사교육의 방향
- 문화교수의 쟁점을 통해서 본 문화교수의 방향성 모색
- 포트폴리오를 이용한 학습자 참여적 한국어 문화 교수·학습 모형 연구
- 한국어교육에서 문화 교육과정 연구의 새로운 탐색 - 소위 ‘다문화 교육’을 넘어
- 미국의 한국어 학습자 의식 조사 연구
- 인지언어학과 TPR교수법에 의한 한국어 교육 활용방안 고찰 - 다의어 ‘잡다’를 중심으로
- 문학을 활용한 일제 강점기 역사문화 교육 -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경우를 중심으로
- <서동요> 배경설화의 구성방식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