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TV뉴스를 활용한 문화적 리터러시 교육 연구
이용수 4
- 영문명
- Study on the Culture Literacy Education using TV news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 저자명
- 김염(Yan Jin)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화학』제7권 제1호, 59~8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6.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is study starts on the premises that the Culture Literac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one of the important abilities and it is possible to improve Korean Culture Literacy through TV news. First, this study begins with the discussion on the macroscopic classification of Culture after the investigation into the identity of Culture Literacy. The characteristics of TV news has also been examined from the perspective of Signifiant and Signified. And then, the contents of Culture Education that can be dealt through TV news has been extracted. And this study executed the Need Investigation into the lessons using media and TV news aiming at Chinese learners of Korean language. The discussion about the selecting principles of TV news in Korean Culture Education using TV news has also been carried out based on the discussions stated above. This study is meaningful that it emphasizes the culture education of comtemporary daily life of Korea, not the traditional culture that is usually treat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he other meaning can be found in the fact that this study develops its theory by using TV news, not by dramas or movies.
영문 초록
목차
1. 들어가는 말
2. 문화적 리터러시와 TV뉴스에 반영된 문화
3. 학습자 요구조사 및 TV뉴스의 선정
4. 맺는 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Role and Importance of Korean Cultural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 A Case Study of Malaysian Universities
- TV뉴스를 활용한 문화적 리터러시 교육 연구
- 한국어 문자 언어문화의 제도화와 훈민정음 : 문자 ‘훈민정음’의 창제와 해례본『훈민정음』의 간행을 중심으로
- 다문화교육을 위한 콘텐츠 개발과 교사교육의 방향
- 문화교수의 쟁점을 통해서 본 문화교수의 방향성 모색
- 포트폴리오를 이용한 학습자 참여적 한국어 문화 교수·학습 모형 연구
- 한국어교육에서 문화 교육과정 연구의 새로운 탐색 - 소위 ‘다문화 교육’을 넘어
- 미국의 한국어 학습자 의식 조사 연구
- 인지언어학과 TPR교수법에 의한 한국어 교육 활용방안 고찰 - 다의어 ‘잡다’를 중심으로
- 문학을 활용한 일제 강점기 역사문화 교육 -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경우를 중심으로
- <서동요> 배경설화의 구성방식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5권 12호 목차
- 생성형 AI 챗봇과 중학생의 영어 자유대화 학습경험 사례 분석
- 상담학 전공 학부생의 현직 아동상담사 인터뷰 과제 경험: CQR-M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