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어교육에서의 화용적 특성 기반 문법 교육 연구 - ‘(이)나’와 ‘(이)라도’를 바탕으로

이용수  8

영문명
A Study on Grammar Education-Based Pragmatic Features in Korean Education : Focusing on “(i)na” and “(i)rado”
발행기관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저자명
최수정(Sujeong Choi)
간행물 정보
『한국언어문화학』제12권 제3호, 211~237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12.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에서는 보조사 ‘(이)나’와 ‘(이)라도’를 대상으로 하여 이들의 화용적 특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는 ‘(이)나’와 ‘(이)라도’의 경우 기본 의미는 같을지라도 그것이 사용되는 화용적인 맥락은 상이하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어 교재에서는 이 두 문형을 모두 ‘차선책’이라는 기본 의미만으로 설명하고 있어 학습자들이 교재만을 가지고 공부할 경우 ‘(이)나’와 ‘(이)라도’를 단지 ‘차선책’이라는 동일한 의미를 가지는 동의어로 인식할 가능성이 크다는 문제의식으로부터 시작하였다. 이러한 문제의식과 연구의 필요성에 따라 본고에서는 드라마 말뭉치를 통해 ‘(이)나’와 ‘(이)라도’의 화용적 특성 및 차이점을 밝혀보았다. 먼저 한국어 사전과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이)나’와 ‘(이)라도’의 의미를 살피고, 화용적인 측면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야 할 요소들을 바탕으로 분석 기준의 틀을 세운 후 그 기준에 따라 드라마 말뭉치에서 나타난 ‘(이)나’와 ‘(이)라도’의 화용적 특성을 분석해 보았다. 본 연구는 그동안 형태·통사·의미에 대한 연구에 비해 미진했던 문형의 화용적 특성에 주목하여, 유사 의미를 가진 두 문형의 화용적 특성 및 차이점을 중점적으로 밝혀내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한국어에 대한 직관이 없는 외국인 학습자들에게 화용적 특성에 기반하여 문법을 교육하는 데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pragmatic features of “(i)na” and “(i)rado,” which are used in Korean education. The pragmatic difference between “(i)na” and “(i)rado” was analyzed in the quasi-spoken corpus. First, the meaning of “(i)na” and “(i)rado” was examined in Korean language dictionaries and textbooks. Second, criteria of analysis for their pragmatic features were established. Through this, pragmatic features of “(i)na” and “(i)rado” was analyzed in terms of utterance intention, and the relation between the speaker and listener, such as their status and degree of intimac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provides basic data about appropriate grammar depending on situations by focusing on not only the meaning, form, and syntax but also the pragmatic features of Korean language learners.

목차

1. 서론
2. 연구 대상 및 방법
3. 한국어 사전 및 교재 분석
4. ‘(이)나’ 및 ‘(이)라도’의 화용적 특성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수정(Sujeong Choi). (2015).한국어교육에서의 화용적 특성 기반 문법 교육 연구 - ‘(이)나’와 ‘(이)라도’를 바탕으로. 한국언어문화학, 12 (3), 211-237

MLA

최수정(Sujeong Choi). "한국어교육에서의 화용적 특성 기반 문법 교육 연구 - ‘(이)나’와 ‘(이)라도’를 바탕으로." 한국언어문화학, 12.3(2015): 211-23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