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 언어문화 리터러시에 나타난 북한이탈대학생의 경험에 관한 연구
이용수 2
- 영문명
- A Study on the North Korea Defector University Students’ Experience of the Korean Language and Culture Literacy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 저자명
- 정지현(jihyeon Jeong) 최희(Hee Choi) 김영순(Youngsoon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화학』제12권 제3호, 183~209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2.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 언어문화 리터러시에 나타난 북한이탈대학생의 경험의 의미를 탐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첫째, 북한이탈대학생의 한국 언어문화에 대한 리터러시는 어떠한가? 둘째, 한국 언어문화 리터러시에 나타난 경험의 의미는 무엇인가? 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우선 북한이탈대학생의 현황과 적응 과정의 어려움을 선행연구를 통해 파악하고, 언어문화와 리터러시의 개념을 고찰하였다. 이어 북한이탈대학생들의 한국 언어문화 리터러시에 나타난 경험을 비판적 이해, 소통적 참여, 성찰적 실천의 관점으로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비판적 이해의 관점에서 ‘같은 언어, 다른 언어문화’, 소통적 참여의 관점에서 ‘소통의 장벽이 되는 이중언어문화’, 성찰적 실천의 관점에서 ‘사회 구성원으로서 인정받기 위한 노력’이라는 주제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를 통해, 시민교육의 차원에서 다수 한국 대학생들에게 북한의 언어문화적 배경을 이해할 수 있는 상호언어문화 이해교육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the significance of Korean language and culture literacy that North Korean defector students experience. The first research question of this study is “How is North Korean defector students’ literacy to the Korean Language Culture?”, and the second is “What is the significance of the literacy of Korean language and culture performed by North Korean defector students?”. In solving these research question, previous studies was examined. Through the exam we acknowledge the better grasp the North Korean defector students’ current situation and their difficulties that they face in their assimilation process. The other hand, we reviewed the concept of the literacy of Korean language and culture. By analyzing the significance of the North Korean defector student’s Korean language and culture literacy, this study give an indication to the possibility of understanding mutual language culture and the perspective of educating citizens, that enables the for many Korean university students to understand North Korean language and cultural background.
목차
1. 서론
2. 북한이탈대학생과 언어문화 리터러시
3. 연구설계
4. 한국 언어문화 리터러시 경험의 의미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스리랑카 중고등학교 한국어 교사 양성프로그램 만족도 조사 연구
- 중국 내 한국어 초급 학습자에게 적합한교수 언어
- 학습 환경에 따른 한국어 학습자와 한국인 대학생의 쓰기 상위인지 전략사용 연구
- 귀국 학생을 위한 한국어문화교육 연구 동향 분석과 향후 과제 - 문화 교육을 중심으로
- KFL과 KSL의 학습요인별로 본 한국어 교재의 담화 연구 - 1950~1980년 중반의 자료를 대상으로
- 일반적 학문 목적의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 석사 과정 정부초청외국인장학생을 중심으로
- 한국 언어문화 리터러시에 나타난 북한이탈대학생의 경험에 관한 연구
- 한국어교육에서의 화용적 특성 기반 문법 교육 연구 - ‘(이)나’와 ‘(이)라도’를 바탕으로
- 한국어교육에서의 명사절 ‘-기가’ 내포문 교육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대학생의 취업눈높이가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과 진로성숙도의 매개효과 분석
- 상관의 개발리더십과 육군 ROTC 단기복무 전역장교의 경력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자기주도학습능력의 매개효과 분석
- 프로티언 및 무경계 경력태도에 기초한 경력개발 유형 탐색: 유형별 정서적 조직몰입과 주관적 경력성공의 차이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