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스리랑카 중고등학교 한국어 교사 양성프로그램 만족도 조사 연구

이용수  3

영문명
A Study on Satisfaction with the Korean Language Teacher Training Program at a Secondary School in Sri Lanka
발행기관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저자명
정서영(Seoyoung Joung)
간행물 정보
『한국언어문화학』제12권 제3호, 145~181쪽, 전체 3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12.30
7,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스리랑카는 중고등학교에 제2외국어로 한국어를 채택하여 스리랑카 한국어 교육은 급속도로 확대되어 가고 있다. 스리랑카의 한국어 교육 열풍을 지속시키기 위해서는 유능한 교사를 육성하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 연구는 현행 스리랑카 한국어 교사 양성 프로그램을 살펴보고 이 프로그램에 참가한 현직 스리랑카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만족도 조사를 조사하였다. 또한 현행 한국어 교사 양성 프로그램의 한계와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후 발전을 위한 교육 기반의 필요성을 정리해 보고자 하였다. 스리랑카에서의 한국어 교육 발전을 위해서는 먼저, 스리랑카 중고등학교에서의 한국어 교육 실제에 대한 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 두 번째 한국어 교사 양성 프로그램은 학습자 변인의 특성을 고려한 상태에서의 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세 번째 교사 양성 프로그램의 목적과 목표가 분명해야 한다. 네 번째 교사 양성 프로그램의 체계적 운영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교사 양성 프로그램을 수료하고 현장에서 활동하고 있는 교사에 대한 지원 정책이 필요하다. 앞으로 다양한 국가의 한국어 교원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서는 학습자 요구와 현지 한국어 교육 상황에 대한 정보들이 수렴된다면 더욱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한국어 교원 양성 과정이 설계되리라 기대한다.

영문 초록

Since Sri Lanka chose to offer Korean as a second language at secondary schools, Korean language education has spread rapidly. Thus, training competent Sri Lankan teachers of Korean has become of utmost importance to meet the popular demand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Sri Lanka.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urrent Korean language teacher training program in Sri Lanka and the results of a survey administered to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suggest ways to enhance the Korean language teacher training program. This study examines the limits and problems of the current program and shows the implications of the needs of the educational infrastructure. The results suggest that, first, an analysis of the reality of Sri Lankan secondary schools is needed. Second, the Korean language teacher training program should be developed considering different learner characteristics. Third, the program should have clear goals and purposes. Fourth, systematic management of the program is needed. Finally, a support policy is needed for teachers who enter the educational field after completing the program. If from other countries and information on various Korean education environments are collected, non-native Korean speaker teacher education will become more objective and systematic.

목차

1. 들어가기
2. 선행연구
3. 스리랑카 한국어 교육과 현행 중고등학교 한국어 교사양성 프로그램의 개요
4. 스리랑카 한국어 교사 양성 프로그램 개발 연구
5.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서영(Seoyoung Joung). (2015).스리랑카 중고등학교 한국어 교사 양성프로그램 만족도 조사 연구. 한국언어문화학, 12 (3), 145-181

MLA

정서영(Seoyoung Joung). "스리랑카 중고등학교 한국어 교사 양성프로그램 만족도 조사 연구." 한국언어문화학, 12.3(2015): 145-18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