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귀국 학생을 위한 한국어문화교육 연구 동향 분석과 향후 과제 - 문화 교육을 중심으로
이용수 3
- 영문명
- A Study on Research Trends and Future Directions of Korean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for Students Those Who Returned from Abroad : Focusing on Culture Education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 저자명
- 김윤주(Yoonjoo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화학』제12권 제3호, 1~2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2.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는 귀국 학생을 대상으로 한 그간의 연구 성과를 살펴보고 이들을 대상으로 한 문화 교육의 연구 동향을 분석한 후 향후 과제에 대해 논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1장에서는 귀국 학생의 현황과 특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귀국 학생을 위한 문화 교육의 문제를 논하기 위해 2장에서는 문화와 문화 능력의 개념, 언어 교육과 문화 교육의 관계에 대한 논의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귀국 학생을 위한 문화 교육의 성격과 방향에 대해 생각해 보고 그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3장에서는 앞서 살펴본 귀국 학생을 위한 문화 교육의 중요성에 기반해 그간 축적되어 온 관련 연구를 모두 살펴보고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4장에서는 분석 결과에 대한 논의와 향후 과제에 대한 제언을 보이는 것으로 마무리하였다. 귀국 학생 대상 문화 교육 내용과 교수요목 설계가 필요하며 학습자 특성에 대한 다층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특히 기존의 연구가 초등학생과 아동 대상 연구에 치중되어 있음을 감안하면 귀국 청소년 대상 연구가 좀 더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학교급별, 학령별, 교과목별 문화 내용을 추출하는 작업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문화 교육 내용으로 활용할 수 있어야 하겠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take stocks of research trends and outcomes of culture education for students who returned from abroad and tries to discuss the future direction of the educational area. Chapter 1 deals with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students returned from abroad. In order to discuss culture education issues for the students, chapter 2 is dedicated to the discussions of the concept of culture, cultural capacity concept, and the relation between language education and culture education. In chapter 3, I analyze research trends about returned student education while emphasizing importance of culture education for them. Finally, in chapter 4, I discuss the results of analysis of this study and suggest future direction for this educational area.
목차
1. 머리말
2. 귀국 학생을 위한 문화 교육
3. 귀국 학생 문화 교육 관련 연구 동향 분석
4. 분석에 대한 논의와 향후 과제
5.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스리랑카 중고등학교 한국어 교사 양성프로그램 만족도 조사 연구
- 중국 내 한국어 초급 학습자에게 적합한교수 언어
- 학습 환경에 따른 한국어 학습자와 한국인 대학생의 쓰기 상위인지 전략사용 연구
- 귀국 학생을 위한 한국어문화교육 연구 동향 분석과 향후 과제 - 문화 교육을 중심으로
- KFL과 KSL의 학습요인별로 본 한국어 교재의 담화 연구 - 1950~1980년 중반의 자료를 대상으로
- 일반적 학문 목적의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 석사 과정 정부초청외국인장학생을 중심으로
- 한국 언어문화 리터러시에 나타난 북한이탈대학생의 경험에 관한 연구
- 한국어교육에서의 화용적 특성 기반 문법 교육 연구 - ‘(이)나’와 ‘(이)라도’를 바탕으로
- 한국어교육에서의 명사절 ‘-기가’ 내포문 교육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대학생의 취업눈높이가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과 진로성숙도의 매개효과 분석
- 상관의 개발리더십과 육군 ROTC 단기복무 전역장교의 경력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자기주도학습능력의 매개효과 분석
- 프로티언 및 무경계 경력태도에 기초한 경력개발 유형 탐색: 유형별 정서적 조직몰입과 주관적 경력성공의 차이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