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어교육에서 쓰기 지식 교육에 대한 연구- 초급 한국어 학습자의 발표문을 중심으로
이용수 7
- 영문명
- A Study on teaching of Writing Knowledge in KFL : Focused on presentation papers by Korean learners of novice level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 저자명
- 이수정(Sujeong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화학』제12권 제2호, 155~181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8.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의 목적은 제2외국어 학습자를 위한 쓰기 교육의 내용으로서 쓰기 지식의 교수가능성에 대해 살펴보고, 쓰기 지식의 범주로 초급 한국어 학습자의 발표문에서 나타나는 오류를 분석하는 데 있다. 쓰기 지식 중 내용 지식은 교사의 통제가 어려우며, 과정 지식은 교육의 내용이 아닌 목표에 가깝다. 반면 맥락 지식과 언어 지식은 안정적이고 명시적인 지식으로 교수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쓰기 교육의 내용으로 반영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맥락 지식과 언어 지식을 바탕으로 초급 한국어 학습자의 작문 41편을 통해 발표문이라는 맥락에 대한 학습자의 이해 정도와 다양한 언어적 오류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언어 지식의 관점에서 보면 표기 오류 범주에서는 맞춤법 오류가 두드러졌고 문장 오류 범주에서는 조사의 생략과 오류가 높은 빈도를 보였다. 또한 구어 표현이 자주 등장하였다. 단락 단위의 결과를 보면 하나의 단락이 하나의 생각을 담아야 한다는 기본적인 단락 내용의 일관성이 지켜지지 않는 경우가 상당 부분 있었다. 맥락 지식의 관점에서 보면 독자를 고려한 본론 내용에 대한 구체적인 안내와 개관이 없고, 주제를 명확히 명시하지 않는 부분들이 나타난다. 이를 통해 초급부터 맥락과 언어 구조를 중심으로 한 쓰기 지식 범주의 수업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으며, 초급 교재의 글쓰기 역시 맥락 지식과 언어 지식을 교육 내용으로 하여 접근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eachability of Writing Knowledge(consist of Content Knowledge, Context Knowledge, Linguistic Knowledge, Writing Process Knowledge) in the classroom for L2 learners and to analyze the presentation papers written by Korean learner of novice level. based on the category of Writing Knowledge. Content Knowledge can not be controlled by teacher. Writing Process Knowledge is near the objective of Writing class, not the educational contents. On the other hand, Context Knowledge and Linguistic Knowledge are stable and explicit as educational contents. In regard to high teachability, it is reasonable to assume that Context Knowledge and Linguistic Knowledge are proper as educational contents. Based on Context Knowledge and Linguistic Knowledge, 41 presentation papers are analyzed. The results of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from an Linguistic Knowledge, there are lots of spelling mistakes or errors, drop of postpositional particle. inappropriate colloquial expression. In accordance with paragraph, consistency of content was not kept in a fair number of papers. Second, from an Context Knowledge, some papers has no overview considering the reader or did not specify the subject of papers. Through the presentation papers analysis, writing class based on the Context Knowledge and Linguistic Knowledge as Writing Knowledge need to be formed from novice level. Writing textbook also should reflect Context Knowledge and Linguistic Knowledge as educational contents
목차
1. 서론
2. 쓰기 지식
3. 한국어교육에서 교육 내용으로서의 쓰기 지식
4. 초급 한국어 학습자의 발표문 분석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의 변화에 대한 사회문화적인 접근
- 국어기본법 상 한국어 교원자격제도 연구 - 현황 및 발전 방향
- 그래픽 조직자를 활용한 NIE 연구 - 텍스트 시각화의 적용 가능성에 대하여
- 결혼이민자 취업을 위한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역할
- 한국어 학습자 서사의 담화적 특성 - 조사, 시제 선택을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에서 쓰기 지식 교육에 대한 연구- 초급 한국어 학습자의 발표문을 중심으로
- 상호문화성에 기반 한 문학 독서교육
- 한국어 교육에서 교수 자료로 활용된 문학 작품 연구 - 초기 교재를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실습 내용과 방법에 관한 학습자 인식 연구 - 모의 수업·강의 실습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제28권 제2호 목차
- 컴퓨터 기반 평가의 문항 유형별 응답 분석: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중학교 수학을 중심으로
- 역사적·심리적 발달에 따른 선형대수 학습 수준에 대한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