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그래픽 조직자를 활용한 NIE 연구 - 텍스트 시각화의 적용 가능성에 대하여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NIE Using the Graphic Organizer : Regards to Application of the Text Visualization
발행기관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저자명
김승연(Seungyeon Kim)
간행물 정보
『한국언어문화학』제12권 제2호, 45~73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8.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에서는 텍스트가 나타내는 추상적인 내용을 구체적으로 시각화하여 표현하는 그래픽 조직자(Graphic Organizer)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NIE(Newspaper in Education)에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NIE는 “신문을 활용한 교육”으로써 수업 시간에 신문 기사 및 정보를 활용하여 교육적인 효과를 높이는 것을 말한다. 신문은 다양한 형태의 텍스트와 여러 분야의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학습에 대한 동기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신문은 실제로 일어나는 최신의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현실적인 현상을 바탕으로 학습자의 지식을 넓히고 논리와 사고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교수·학습 자료이다. 이러한 점은 의사소통 능력의 배양과 해당 문화권에 대한 이해를 궁극적인 목표로 추구하는 한국어 교육에서도 가치 있게 논의할 수 있다. 그렇지만 신문이 제공하는 텍스트가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추상적이고 어려울 수 있기 때문에 신문 기사 텍스트를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전략이 필요하다. 그래픽 조직자는 언어 텍스트의 추상적인 개념 및 정보 간의 관계를 선, 화살표, 도형, 공간 배열 등으로 구조화하여 표현하는 시각적인 도구이다. 그래픽 조직자는 읽기 텍스트의 내용을 구조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시각적인 형태로 보여주기 때문에 NIE에서 제시하는 텍스트를 교수·학습하는 과정에서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NIE의 한 방법으로 추상적인 텍스트를 시각적으로 구조화하여 제시할 수 있는 그래픽 조직자에 대해서 논의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질 것이다. 또한 이 연구에서 논의한 그래픽 조직자는 읽기 텍스트뿐만 아니라 향후 기능별 한국어 교재를 개발할 때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graphic organizer which can visualize text in an abstract concept into a concrete concept and examine the possibility that applies to NIE. NIE stands for “Newpaper in Education” which enhances the educational effect using the newspaper article in the class. The newspaper can motivate the students to learn because it offers various types of texts and diverse fields of information. Besides, the newspaper is the positive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 because it gives the latest information which happens in real time and widens the students’ knowledge and enhances logical thinking. That’s why NIE can be discussed worthily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that pursues the objectives about building up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understanding about the Korean culture. However, the text in newspaper is abstract and difficult to the students who are learning Korean Language, so that the graphic organizer can be used as a strategy for easier learning. The graphic organizer can visualize the abstract concepts and the relationship among information of the text into the concrete concepts using lines, arrows, figures and space arrangement. The graphic organizer can be used effectively in NIE because it shows the reading text into the visualized structure. This study has significance of presenting the graphic organizer that make the abstract text into visualization as one of the teaching-learning methods in NIE for the studends who are learning Korean. Besides, it is hopeful that the graphic organizer may be applied to develop the functional Korean language textbook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신문 기사 텍스트의 유형별 표현 양상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승연(Seungyeon Kim). (2015).그래픽 조직자를 활용한 NIE 연구 - 텍스트 시각화의 적용 가능성에 대하여. 한국언어문화학, 12 (2), 45-73

MLA

김승연(Seungyeon Kim). "그래픽 조직자를 활용한 NIE 연구 - 텍스트 시각화의 적용 가능성에 대하여." 한국언어문화학, 12.2(2015): 45-7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