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어교육실습 내용과 방법에 관한 학습자 인식 연구 - 모의 수업·강의 실습을 중심으로

이용수  2

영문명
A Study of Learners’ Perception on Contents and Methods of Korean Practicum : Focusing on Mock Class and Practice Teaching
발행기관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저자명
기준성(Junsung Ki)
간행물 정보
『한국언어문화학』제12권 제2호, 1~22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8.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에서는 한국어교육실습에서 모의 수업과 강의 실습의 내용과방법에 관한 수강생의 인식을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제시하였다. 모의 수업과 강의 실습의 내용에 관한 인식은 크게 실습 영역에 관한 인식과 실습 내용에 관한 인식으로 나누어 조사하였고, 모의 수업과 강의 실습의 방법에 관한 인식은 실습 대상, 실습 시간, 실습 유형, 실습방법으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지금까지 분석한 과정과 논의한 내용을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어교육 참관 및 실습’ 수강생은 실습 영역으로 기능 영역과지식 영역이 가장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어교육 참관 및 실습’ 수강생은 실습 내용으로 기능 영역에서는 말하기, 지식 영역에서는 문법이 가장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국어교육 참관 및 실습’ 수강생은 실습 대상으로 중급 학습자와 초급 학습자가 가장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한국어교육 참관 및 실습’ 수강생은 실습 시간으로 1회당 약 20 분과 약 30분이 가장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한국어교육 참관 및 실습’ 수강생은 실습 유형으로 ‘한국어 학습자 대상 모의 수업’과 ‘한국어교육 기관에서 강의 실습’이 가장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한국어교육 참관 및 실습’ 수강생은 실습 방법으로 각 1회 이상의 오프라인-온라인 혼합 실습과 2회 이상의 오프라인 실습이 가장적절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rough a survey questionnaire, this study reveals learners’ perception on contents and methods of a mock class and practice teaching in line with Korean practicum. Perception on contents of a mock class and practice teaching is analyzed in two dimensions-perception on practicum domain and perception on practicum contents. And perception on methods of a mock class and practice teaching is scrutinized in four dimensions-practicum subject, practicum time, practicum type, and practicum methods. The summary of the findings are the followings: First, students in Korean practicum perceive that the function domain and the knowledge domain are the most appropriate practicum domains. Second, students in Korean practicum perceive that speaking in the function domain and grammar in the knowledge domain are the most appropriate practicum contents. Third, students in Korean practicum perceive that learners in intermediate and beginner levels are the most appropriate practicum subjects. Forth, students in Korean practicum perceive that about 20 minutes per session and 30 minutes per session are the most appropriate teaching practicum times. Fifth, students in Korean practicum perceive that ‘a mock class for Korean learners’ and ‘teaching practic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stitute’ are the most appropriate practicum types. Last, students in Korean practicum perceive that more than one time of on- and off-line combined practicum and more than two times of off-line practicum are the most appropriate practicum methods.

목차

1. 들어가기
2. 연구 대상 및 방법
3. 선행 연구
4. 한국어교육실습 내용과 방법에 관한 학습자 인식
5. 나가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기준성(Junsung Ki). (2015).한국어교육실습 내용과 방법에 관한 학습자 인식 연구 - 모의 수업·강의 실습을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화학, 12 (2), 1-22

MLA

기준성(Junsung Ki). "한국어교육실습 내용과 방법에 관한 학습자 인식 연구 - 모의 수업·강의 실습을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화학, 12.2(2015): 1-2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