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어의 변화에 대한 사회문화적인 접근
이용수 36
- 영문명
- A Sociocultural approach to the change of Korean language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 저자명
- 민현식(Hyunsik Min)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화학』제12권 제2호, 97~124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8.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광복 70돌을 맞아 한국어의 변화를 사회문화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언어변화는 좋은 것도 아니고 나쁜 것도 아니다. 문법 규칙에는 규범적 처방규칙과 설명적 기술 규칙이 있다. 전자만 옳다고 할 수는 없다. 변이형이 규범에 어긋나더라도 변이형이 대세로 자리잡았으면 다수형의 논리를 추인하여 개신형으로 인정하고 가르쳐야 한다. 한국어는 위기 상태로 한국어의 변화는 사회경제의 변화와 밀접하다. 도시화와 산업구조의 변화와 방언 소멸의 위기, 저출산과 핵가족 사회와 언어전승의 위기, 대중문화의 확산과 언어 비속화의 위기, 세대 차이의 심화와 세대간 언어불통의 위기, 남북 갈등과 언어 이질화의 위기, 외국어 범람의 위기 등을 겪고 있어 국어대각성을 위한 국어정비운동이 절실하다. 광복 70년 동안 한국어 시대어의 변화는 시대상의 변천을 보여 준다. 아울러 발음, 형태, 통사, 의미 차원의 언어변화도 상당히 나타났다. ㅐ 와 ㅔ의 혼동, 된소리의 확산, 복수 표준형 인정 문제, 형용사 기원법설정(건강하세요, 행복하세요) 필요, 애 불규칙(해, 바래) 설정 문제, 과잉 높임법(나가실게요) 범람 등은 규범의 보전과 개정의 갈등에서처방 규칙과 기술 규칙의 두 축을 조화롭게 제시하는 노력이 요구된다. 21세기 한국어의 국제화를 위해서는 현실언어를 기반으로 규범적처방문법과 설명적 기술문법이 융합된 국제표준문법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영문 초록
In the time of the 70th anniversary of the restoration of national independence, a sociocultural approach to the change of the Korean language is necessary. There are normative prescriptive rules and expository descriptive rules in the grammar rules. It is not proper to say that the normal descriptive rules are always right; if the variants are settled as a general trend, although the variants are against the norms, reformed variants should be acknowledged and taught according to the confirmation of the evidence of the majority type and its logic. The Korean language is in a state of crisis. The change of the Korean language is closely connected with socioeconomic changes. Language changes in the level of pronunciation, form, syntax, and meaning have occurred considerably. In the problems of confusion between ㅐ and ㅔ, proliferation of fortes, acceptance of plural standard forms, setting of the adjective optative and irregular ‘-ㅐ’, and overuse of honorification, the efforts to present prescriptive rules and descriptive rules harmoniously in the conflict between the maintenance of the norms and the modification of the norms
목차
1. 언어변화란 관찰할 수 있는 것인가
2. 규범 언어와 현실 언어
3. 한국어의 사회적 변화 요인과 한국어의 위기
4. 한국어의 변화
5.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의 변화에 대한 사회문화적인 접근
- 국어기본법 상 한국어 교원자격제도 연구 - 현황 및 발전 방향
- 그래픽 조직자를 활용한 NIE 연구 - 텍스트 시각화의 적용 가능성에 대하여
- 결혼이민자 취업을 위한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역할
- 한국어 학습자 서사의 담화적 특성 - 조사, 시제 선택을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에서 쓰기 지식 교육에 대한 연구- 초급 한국어 학습자의 발표문을 중심으로
- 상호문화성에 기반 한 문학 독서교육
- 한국어 교육에서 교수 자료로 활용된 문학 작품 연구 - 초기 교재를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실습 내용과 방법에 관한 학습자 인식 연구 - 모의 수업·강의 실습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제28권 제2호 목차
- 컴퓨터 기반 평가의 문항 유형별 응답 분석: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중학교 수학을 중심으로
- 역사적·심리적 발달에 따른 선형대수 학습 수준에 대한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