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결혼이민자 취업을 위한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역할
이용수 5
- 영문명
- The Roles of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for Employment of Marriage Immigrants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 저자명
- 김현민(Hyunmin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화학』제12권 제2호, 75~95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8.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다문화가족지원센터는 다문화가족지원정책의 대표적인 사례로서 그동안 전국 각 지역에 설립되어 가장 가까이에서 결혼이민자를 위한 서비스를 제공해왔으며, 결혼이민자의 초기 부적응 문제를 완화하는데큰 역할을 했다. 하지만 다문화가족지원센터를 이용하는 주 대상인 결혼이민자들은 취업을 통한 사회 진출을 원하고 있지만 현재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프로그램은 한국사회 적응과 지역사회 정착을 위한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과 문화적응 프로그램, 다문화가정 화합 프로그램 등에만 연구가 그치고 있는 실정이었다. 이에 본 연구는 결혼이민자들이 경제적으로 안정될 수 있는 사회 진출을 위해 결혼이민자를 위한 대표적 교육기관이라 할 수 있는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현재 프로그램 운연 현황과 문제점들을 살펴보고, 다문화가족지원센터가 결혼이민자 취업을 위해 앞으로 어떤 역할을 해야하며, 어떤 프로그램이 개발·운영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As a typical case of the policies on supporting multi-cultural families,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have been established at the local level throughout the country, provided service for marriage immigrants at the nearest place, and played a crucial role in relieving their problem of maladjustment at the initial stage. However, while marriage immigrants, or principal users of the centers wanted to participate in society by getting a job, the current programs the centers provided were confined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s, acculturation programs, and multi-cultural family harmony programs so that they could adapt themselves to the South Korean society and settle themselves in a community.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status and problems of program operation in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which could be typical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marriage immigrants, and to indicate what roles the centers needed to play in helping marriage immigrants get a job and what programs needed to be developed and operated so that marriage immigrants could participate in society in pursuit of financial stability
목차
1. 서론
2. 결혼이민자 취업 실태 및 정부 프로그램 분석
3.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운영현황 및 문제점
4. 결혼이민자 취업을 위한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역할과 개선점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의 변화에 대한 사회문화적인 접근
- 국어기본법 상 한국어 교원자격제도 연구 - 현황 및 발전 방향
- 그래픽 조직자를 활용한 NIE 연구 - 텍스트 시각화의 적용 가능성에 대하여
- 결혼이민자 취업을 위한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역할
- 한국어 학습자 서사의 담화적 특성 - 조사, 시제 선택을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에서 쓰기 지식 교육에 대한 연구- 초급 한국어 학습자의 발표문을 중심으로
- 상호문화성에 기반 한 문학 독서교육
- 한국어 교육에서 교수 자료로 활용된 문학 작품 연구 - 초기 교재를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실습 내용과 방법에 관한 학습자 인식 연구 - 모의 수업·강의 실습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제28권 제2호 목차
- 컴퓨터 기반 평가의 문항 유형별 응답 분석: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중학교 수학을 중심으로
- 역사적·심리적 발달에 따른 선형대수 학습 수준에 대한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