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어 학습자 서사의 담화적 특성 - 조사, 시제 선택을 중심으로

이용수  2

영문명
A Study on the Discourse Properties of Korean Narrative by L2 learners of Korean : Focusing on the usage of particles and tenses
발행기관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저자명
박수진(Sujin Park)
간행물 정보
『한국언어문화학』제12권 제2호, 125~153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8.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와 한국어 모어 화자의 실제 서사 담화 자료에서 서사 유형에 따라 담화 구조와 조사, 시제의 문법 항목의 사용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어 학습자는 모어 화자처럼담화 유형과 정보 구조, 그리고 화자의 의도에 따라 과거형과 비과거형의 시제와 {가}, {는}의 조사를 확연히 구분하여 사용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기존의 문장 층위의 문법 교육에서 보다 확장된 담화 차원의 문법 교육의 필요성을 보여준다. 한국어 모어 화자가 담화 유형과 담화 구조에 따라 시제와 조사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처럼 한국어 학습자 또한 이러한 수준에 도달할 수있도록 문법 교육 내용을 담화 유형과 담화 구조와 연관하여 제공해야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focuses on narrative discourses and discourse grammars of Korean language learners. To consider Korean learners' interlanguage, this study aims to compare native Korean speakers with intermediate-level Korean learner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Korean courses at two universities 2011-2012 and was analyzed how they construct narrative discourse structures based on information structures and apply particles, tenses in personal narratives, personalized narratives and impersonal narratives. First, both groups mostly used foreground information in impersonal narrative and it means that narrative discourse structures can be considered universal properties of impersonal narrative genre. But they showed differences in other genres. Second, they mostly used old informations and consequently this means that new informations, which was already mentioned or was inferred, are changed by old informations. Third, this article shows that the native Korean speakers tended to use non-past tenses, ‘eun/neun(은/는)’ particles more frequently than Korean learners and it means that the native Koreans alternate between tenses and particles more often than Korean learners. In conclusion, this study illustrates the interlanguage discourse pattern of the Korean learners. In other words, the Korean learners could not change tenses and particles depending on their intentions and narrative types.

목차

1. 머리말
2. 담화 문법과 서사 담화의 특성
3. 한국어 학습자의 서사 담화 분석
4.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수진(Sujin Park). (2015).한국어 학습자 서사의 담화적 특성 - 조사, 시제 선택을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화학, 12 (2), 125-153

MLA

박수진(Sujin Park). "한국어 학습자 서사의 담화적 특성 - 조사, 시제 선택을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화학, 12.2(2015): 125-15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