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torytelling Analyzing Frame of Narrative Meaning Communication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 저자명
- 김규훈(Kyoohoon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화학』제12권 제1호, 23~51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4.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서사적 의미 소통에 대한 논의를 바탕으로 스토리텔링의 서사 구조를 분석할 수 있는 틀을 구안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는 한국어교육의 스토리텔링 활용을 위한 이론적 기반으로서 서사표현교육 담론을 구축하는 작업의 일환이다. 이를 위해 먼저 서사표현교육과 스토리텔링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학습자 삶으로서의 서사표현교육이 필요하며 그 방편으로 스토리텔링이 의의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스토리텔링의 교육적 접근을 체계화하기 위하여 서사적 의미 소통의 분석틀을 구안하였다. 학습자의 서사적 의미 소통의 행위와 사고과정의 교섭을 강조하였다. 이때 사고 과정에서는 서사적 의미 구조에따라 서사적 내용과 표현, 각각의 형식과 질료에 따라 구체적인 요소를 마련하였다. 일련의 논의를 바탕으로 실제 스토리텔링의 사례를 분석하여 그 적용 가능성을 확인해 보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at making a frame to analyze a narrative structure of storytelling based on discourses of narrative meaning communications. This is a part of work for setting narrative expression education discourse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apply a storytelling. For these, first of all this study has a focus on features of a narrative expression education and a storytelling. A narrative expression education as a life of learners would be needed. So a storytelling has a meaning for that. And next, this study makes an analyzing frame of narrative meaning communication for systematizing a storytelling’s educational approach. A transaction of learners’ activities and thinking procedures could be emphasized. At this point, the thinking procedures get concrete elements of forms and matters followed by narrative contents and expressions. Based on a series of discussions, this study analyzes real storytelling cases and find out possibilities to apply it.
목차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2. 서사표현교육과 스토리텔링
3. 서사적 의미 소통의 분석틀 구안
4. 분석틀을 통한 스토리텔링 사례 분석
5. 연구의 요약과 전망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Study on the Question Types of the Korean Language Proficiency Test and Korean Language Proficiency of Learners at the Intermediate Level: Focusing on analysis of the grade 3 written test
- 한국어 쓰기를 위한 문학 텍스트의 내용지식으로서의 활용 가능성 검증 연구
- 장르-텍스트 기반 문법 교육 내용 연구 - 논리적 응결 장치를 중심으로
- 상호 문화적 능력 향상을 위한 한국의 ‘흥’ 이해 교육 연구 - 고전 문학 제재를 중심으로
- 한국 언어문화 교육의 질적 향상 방안
- 다문화 여성결혼이민자 한국어 교육과정운영 실태 연구
- 서사적 의미 소통의 스토리텔링 분석틀 - 한국어교육을 위한 서사표현교육 담론 탐색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교원교육 제41권 제5호 목차
- 온라인 국제교류 협력학습의 효과에 관한 연구 - 서울특별시교육청을 중심으로
- 학교공간혁신 참여설계 과정에서 교사 퍼실리테이터의 역할과 역량 - FGI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