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management of Korean language curricula for the female immigrants of multicultural marriages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 저자명
- 최주열(Juyoul Choi)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화학』제12권 제1호, 167~189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4.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에서는 다문화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을 위해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한국어 교육과정 및 운영 실태를 조사해 보았다. 다문화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과정은 기본적으로 갖추어야 할 일반 한국어 내용과 여성결혼이민자의 특성을 고려한 지역어 및 지역 문화에 대한 내용을 다룰 필요성이 있었다. 일반 기초 한국어 능력을 갖추기 위한 통용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은 정부 부처에서 공통 교재를 중심한 교육과정을 개발 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지역별 특별 프로그램 교육과정 개발은 지역출신한국어 교육 전문가가 지역별 특성에 맞게 개발하여 운영하는 것이 효과적이었다. 따라서 통용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과 지역별 특별 프로그램 교육과정 개발은 상호연계 하되 별도로 분리하여 개발하고 운영할필요가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examines the Korean language curricula and the actual conditions of multicultural family assistance centers with the intention of developing a Korean language curriculum for female immigrants of multicultural marriage. The curriculum for them must contain the basic contents of teaching Korean for general purposes and contents on the regional dialects and culture. It was effective for government institutions to develop a curriculum for general purposes which are to be focused on increasing basic general Korean language competence. It was, however, effective for regional Korean language teaching experts to develop regional Korean language teaching programs suitable for the features of the regions. So the Korean language teaching programs for general purposes and the special regional programs must be mutually linked but must be developed and managed separately.
목차
1. 서론
2.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과정 구성
3. 여성결혼이민자 한국어 교육과정 운영 실태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Study on the Question Types of the Korean Language Proficiency Test and Korean Language Proficiency of Learners at the Intermediate Level: Focusing on analysis of the grade 3 written test
- 한국어 쓰기를 위한 문학 텍스트의 내용지식으로서의 활용 가능성 검증 연구
- 장르-텍스트 기반 문법 교육 내용 연구 - 논리적 응결 장치를 중심으로
- 상호 문화적 능력 향상을 위한 한국의 ‘흥’ 이해 교육 연구 - 고전 문학 제재를 중심으로
- 한국 언어문화 교육의 질적 향상 방안
- 다문화 여성결혼이민자 한국어 교육과정운영 실태 연구
- 서사적 의미 소통의 스토리텔링 분석틀 - 한국어교육을 위한 서사표현교육 담론 탐색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2022 개정 교육과정에 기반한 개념 기반 탐구학습의 설계 및 적용
- 증강텍스트 읽기 수업에 대한 독자의 흥미 연구
- 공통국어 1 수행평가의 문제 양상 분석 - 수행평가의 내실화와 성취 수준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