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재외동포 청소년의 정체성 함양을 위한 문화체험 프로그램의 방향 고찰
이용수 6
- 영문명
- A Study on the Direction of Cultural Experience Program for Cultivating Identity of Overseas Koreans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 저자명
- 신윤경(Yoonkyeong Shin) 성지연(Jiyeon Sung)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화학』제15권 제1호, 121~14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4.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재외동포 청소년들은 거주국 현지에서 문화적 다양성을 가져다 주는 일원으로서 그 사회에 기여할 수 있다. 그러한 기여를 하기 위해서 그들은 자신과 부모가 기원한 모국의 문화적 배경과 모국의 현재 모습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통해 자아 개념 및 집단 정체감을 가져야 하고 이것이 나아가 거주국 문화와 융합될 수 있는 이중 정체성을 확립하도록 도와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그들의 정체성 함양을 위한 문화체험의 ‘내용’과 ‘방법’에 대해 고찰하였다. 그리고 국내에서 이루어지는 재외동포 청소년의 문화 연수 내용을 검토하여 문제점을 정리했다. 두 프로그램 모두 개별문화 이해 및 체험을 위한 목적에는 부합하나, 일회성 체험과 견학으로 그치는 한계점이 있었다. 이에 문화체험 개선 방향의 ‘내용’으로 한국의 ‘정신문화’ 요소를 들었다. 정신문화는 한 문화권의 행동양식이나 업적의 근간이 되고 발생 원인이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문화체험 장소를 선정하거나 활동을 선택할 때에 어떤 정신문화 요소를 반영시킬 수 있을 것인가를 고민해야 한다. 그리고 ‘방법’으로는 상호문화 접근법으로써 문화체험의 단계를 설정하고, 체험 전·후에 비교, 토론 활동을 진행하는 것이다. 또한, 가능하면 많은 활동들을 팀작업으로 프로젝트화 하는 것이다. 이런 과정들을 통해 서로 다른 문화들과 상호 비교를 통해 한국 문화를 능동적으로 이해하고 내재화하여, 정체감 형성에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Overseas Korean youths can contribute diversity to their resident society. To do this, they must have a good understanding of the cultural background of their home country and its current state. Through this understanding, it is possible to establish a dual identity that can include self-concept and collective identity and can be fused with the culture of their resident country.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content” and “method” of cultural experience for cultivating their identity. In addition, the contents of the cultural training of overseas Korean youths in Korea is reviewed and its problems are summarized. While these programs meet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and experiencing individual culture, there were limitations in one - time experiences and field trips. In response to these limitations, this article presents the spiritual culture factors of Korea as “content” for improving the direction of cultural experience. It is a necessary to consider what kind of spiritual cultural elements can be reflected when selecting a place for cultural experience or related activity. In addition, the “method” sets the stage of cultural experience as a cross cultural approach, allowing us to conduct comparisons and discussion activities before and after the experience. It is also possible to organize as many activities as is feasible into a teams format. Through these processes, Overseas Korean youths will be able to actively understand and internalize Korean culture through intercultural comparisons with different cultures, assisting in the process of identity formation.
목차
1. 서론
2. 재외 동포 청소년과 정체성
3. 정체성과 문화 교육
4. 국내 재외동포 청소년 언어문화 연수 프로그램의 현황 및 문제점
5. 문화체험 학습 개선 방향
6.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부모역량 강화 프로그램 설계 방안
- 자기주도학습이 한국어 학습자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 재외동포 청소년의 정체성 함양을 위한 문화체험 프로그램의 방향 고찰
- 한국어 어휘 수업에서 ‘생태학적 언어 교수 전략’의 활용 가능성
-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시각적 요소의 변화 경향성 연구 - 1990년대부터 2010년대 교재를 중심으로
- 중국계 결혼이주민의 자녀 이중언어 교육 경험에 관한 연구
- 특수 목적 교육으로서의 이민자 대상 한국어 교육과정과 교재 개선 방향 연구 - 법무부 사회통합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요르단인 학습자의 한국어 문장 내 말마디 경계 장음화 현상 고찰
- 한일 교류사 활용 한국어교육을 위한 기초 연구
- 한국 유학 대학생들의 학문적 요약문 글쓰기 - 한국인 대학생과의 비교를 통한 실태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