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자기주도학습이 한국어 학습자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0
- 영문명
- The Effect of Self-directed Learning on Academic Achievement of Korean Learners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 저자명
- 정효민(Hyomin Jeong)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화학』제15권 제1호, 201~228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4.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이 학업 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252명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자기주도학습 설문 문항의 요인분석을 통해 51개의 항목을 추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신뢰도 검사를 실시하여 .942의 높은 신뢰도를 확보하였다. 한국어 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과 학업성취 간의 상관관계에서 12개의 요인 중 8개의 요인에서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결과는 자기효능만이 남녀 모두에게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고, 한국어 수준에 따른 결과는 초급에서 고급으로 올라갈수록 상관관계가 점차적으로 높아졌으며 요인의 수도 세 개의 요인에서 다섯 개의 요인으로 많아졌다. 마지막으로 자기주도학습이 학업 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자기효능과 정교화만이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self-directed learning of Korean language learners on their academic achievements. To accomplish this, 51 items were extracted through factor analysis of self-directed learning questionnaire items by 252 learners. Based on this, reliability test was conducted and maintained a high reliability of .942. In the correlation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of Korean language learners, 8 factors were revealed to be significant among 12 factors. Between the genders, only self-efficacy turned out to be meaningful with both sexes. As the learners’ level went higher from beginners to advanc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elf-direc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gradually increased and the number of the factors also rose from three to five. Finally, the effects of self-directed learning on academic achievement were found to be influenced only by self-efficacy and elaboration.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결과 및 논의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부모역량 강화 프로그램 설계 방안
- 자기주도학습이 한국어 학습자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 재외동포 청소년의 정체성 함양을 위한 문화체험 프로그램의 방향 고찰
- 한국어 어휘 수업에서 ‘생태학적 언어 교수 전략’의 활용 가능성
-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시각적 요소의 변화 경향성 연구 - 1990년대부터 2010년대 교재를 중심으로
- 중국계 결혼이주민의 자녀 이중언어 교육 경험에 관한 연구
- 특수 목적 교육으로서의 이민자 대상 한국어 교육과정과 교재 개선 방향 연구 - 법무부 사회통합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요르단인 학습자의 한국어 문장 내 말마디 경계 장음화 현상 고찰
- 한일 교류사 활용 한국어교육을 위한 기초 연구
- 한국 유학 대학생들의 학문적 요약문 글쓰기 - 한국인 대학생과의 비교를 통한 실태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5권 12호 목차
- 생성형 AI 챗봇과 중학생의 영어 자유대화 학습경험 사례 분석
- 상담학 전공 학부생의 현직 아동상담사 인터뷰 과제 경험: CQR-M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